![](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01.38110203.1.jpg)
인천환경공단은 국내 최초로 생활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재를 재활용하는 처리기술을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비산재는 일부 중금속이 포함돼 있어 그동안 전량 매립돼 왔으나 이번 기술 개발로 재활용의 길이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각 지역의 자원순환센터(소각장)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보내온 생활폐기물을 보통 850~1000℃의 열로 소각 처리한다. 이때 폐기물인 바닥재와 비산재가 남는데, 바닥재는 건축 벽돌이나 보도블록을 만드는데 재활용되는 반면 비산재는 지정폐기물 매립장에 전량 매립된다. 중금속이 포함돼 있어 재사용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고, 건축자재로 사용될 경우 철근 부식 및 강도 저하 유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공단 관계자는 "인천환경공단에서 지난해 발생한 비산재는 총 7813t으로 전량 매립 처리됐다"고 말했다.
공단이 이번에 확보한 재활용 처리기술은 비산재에 포함된 납 함유량을 적합 기준으로 떨어뜨리는 방식이다. 공단은 중금속 제거 기술을 가지고 있는 업체와 협력해 외부 공인 검증기관과 함께 비산재 60t에서 중금속을 제거하는 작업을 시행했다. 올해 초부터 8개월 동안의 연구개발 끝에 납 함유량 리터(L) 당 5.14mg 수준을 1.18mg/L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재활용이 가능한 납 함유량은 3.0mg/L이다.
공단은 내년 1월부터 중금속 함유량이 줄어든 비산재를 건축 벽돌이나 보도블록으로 재활용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우선 비산재 발생량의 79%를, 내후년에는 100% 재활용 처리하기로 했다.
최계운 인천환경공단 이사장은 “인천에서 지난 22년 동안 매립 외 방법이 없었던 비산재를 재활용하게 됐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매립 비용이 줄면서 매년 5억원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