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국민연금 개혁안을 발표하면서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세대별로 달리하는 방안을 내놨다. 현재 소득의 9%인 보험료율을 13%까지 올리되 50대는 매년 1%포인트, 40대는 0.5%포인트, 30대는 0.3%포인트, 20대 이하는 0.25%포인트씩 인상하자고 했다.
중장년층은 빨리, 젊은 층은 서서히 보험료율을 올리자는 것이다. 내년부터 보험료율을 인상한다고 가정해보자. 보험료율이 13%에 도달하는 시점은 50대는 2028년, 40대는 2032년, 30대는 2036년, 20대 이하는 2040년이다. 세대 간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라는 것이 정부의 설명인데, 세계적으로 전례를 찾기 힘든 방식이라 논란이 되고 있다. 전문가의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실제 정부안대로 보험료율을 차등 인상한다고 가정해도 50대의 생애 평균 보험료율은 9.6%로 여전히 20대의 12.9%보다 낮다. 50대는 보험료율이 빨리 오르더라도 보험료 잔여 납입 기간이 10년 이하지만 20대는 40년가량에 달하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의무 납입 기간은 현재 59세까지다. 생애 평균 소득대체율은 현재 50세인 1975년생은 50.6%로 20세인 2005년생의 42%보다 높다.
만약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모든 세대에게 똑같이 한다면 중장년층이 상대적으로 이득을 볼 수밖에 없다. 그만큼 청년층의 불만은 커질 수 있다. 지금도 청년세대에선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다. ‘내가 낸 보험료로 기성세대 연금을 지급하는데, 정작 나는 연금을 못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보험료 인상 속도를 달리하면 청년층의 이런 불만을 누그러뜨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현 연금제도의 혜택을 오래 누려온 기성세대가 고통을 분담한다는 점에서 연금 개혁 취지에 부합하는 측면도 있다. 중장년층의 반발도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16~29일 전국 20~59세 국민연금 가입자 28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보험료율 인상 속도 차등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65.8%나 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72.1%, 20대가 70.0%로 높았지만 40대(60.4%)와 50대(64.2%)도 찬성이 더 많았다.
보험료를 급격히 올리면 감당하기 힘든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보험료를 납부하지 못하는 이도 늘어날 수 있다. 노후보장의 핵심 수단인 국민연금제도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 지금도 국민연금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채우지 못하는 50대가 많다.
세대를 나누는 기준도 논란이 될 수 있다. 정부는 20대 이하, 30대, 40대, 50대 등 연령층을 4개로 구분해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제시했다. 예컨대 40세나 49세는 보험료율 인상 속도가 연 0.5%로 같다. 도중에 연령대가 바뀌어도 인상 속도는 달라지지 않는다. 내년부터 정부안대로 개혁안을 시행한다고 가정하면 내년에 49세인 1976년생은 내후년에 50세가 되도 계속 40대에 해당하는 인상 속도가 적용된다. 반면 내년에 50세인 1975년생의 인상 속도는 연 1%포인트다. 한 살 차이로 보험료 부담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기업이 50대를 고용할 때 주저할 수도 있다. 직장 가입자의 경우 회사와 근로자가 보험료을 절반씩 부담하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8096361.1.jpg)
주용석 논설위원 hohobo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