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8165100.1.jpg)
같은 기간 대상 기업들이 공제받은 세액은 1조5641억원에서 1조7802억원으로 2161억원 늘었다. 해당 기간 투자 확대가 10조5991억원에 이르렀던 점을 감안하면 세액공제액 대비 49배 안팎의 시설 투자가 이뤄진 것이다.
R&D 투자도 크게 증가했다. 42조1988억원이던 반도체·2차전지 기업들의 2021년 귀속 투자는 2022년 47조804억원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공제세액은 3조6173억원에서 4조5220억원으로 뛰어 9047억원 증가했다. 늘어난 세액공제액 대비 투자증가분은 4.5배였다.
반면 R&D 투자에서는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세액공제액 대비 투자 확대 규모가 컸다. 중소기업은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투자가 7519억원 뛰어 공제 증가액(329억원) 대비 22.9배 많이 늘었다. 중견기업은 투자가 3133억원, 세액공제는 291억원 늘어 배수는 10.8배를 기록했다. 대기업의 R&D 투자 증가는 3조8163억원에 이르렀지만 세액공제(8427억원)과 비교해서는 4.5배 늘어났다.
이 같은 경향은 글로벌 경쟁에 노출돼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투자 자금 여유가 있는 대기업일수록 크다. R&D 투자와 관련해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에 더 큰 영향을 받았던 이유다. 한 국책 연구기관 관계자는 “그럼에도 2022년 증가한 투자에 세제 혜택이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중견기업의 시설 투자와 중소기업의 R&D 투자에서는 투자 증가 속도가 공제액 증가 속도보다 빨라 제도 운용이 직접적인 투자 유인으로 연결됐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천 의원은 “기업 규모에 따라 감세 효과가 다르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정부는 향후 법인세 개편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