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07.32481238.1.jpg)
2년제인 미 하원 435명의 임기는 내년 1월 3일까지다. 현재 하원의원 자리 모두 오는 11월 5일 대통령 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의회 선거에서 당선된 인물들로 교체된다. 선거 직전인 10월에는 의회 활동이 중단되기 때문에 9월은 현 하원의원들이 임기 마지막 불꽃을 태워야 하는 중요한 시기다.
통과된 법안은 생물보안법, 라우터법, 중국 전기차 미국 장악 종결법, 중국 공산당 드론 대응법 등 전 산업 분야를 망라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에서 중국 위안화 비중을 억제하는 법안과 중국 유학생을 통한 기술 유출을 방지하는 법안도 눈에 띄었다.
많은 법안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선제 대응’이다. 이 법안들은 DJI(드론)나 우시바이오로직스(바이오), 화웨이(통신), CATL(배터리), BOE(디스플레이) 등을 구체적으로 거명하고 거래 금지를 정부와 기업에 요구하고 있다. 이들이 무엇을 잘못해서 제재하는 게 아니다. 잘못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목적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끄는 중국은 서방이 만들어 둔 자유무역 질서에 편입되는 대신 기존 질서를 악용하고 흐트러뜨렸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공급망 혼란과 우크라이나, 가자 전쟁에서 확인된 정보기술(IT) 의존의 위험성은 미·중 관계의 본질을 워싱턴 정가에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
지난 20여 년간 중국 경제의 성장은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이었으나 이제는 미·중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요구받는 시대가 왔다. 꼭 나쁜 일만은 아니다. 새로 짜이는 통상 질서는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전략적 판단과 기민한 대응이 필요한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