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7일 5년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중장기 비전을 내놓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핵심은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납품업체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 신시장을 개척하는 기업이 되겠다는 것이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 같은 외부 변수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얘기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를 통해 지난해 33조7455억원이던 매출을 2028년까지 67조원으로 두 배로 끌어 올리겠다고 선언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235849.1.jpg)
김 사장은 “새로운 전략을 통해 5년 내 매출을 두 배 늘리고 수익성도 개선하겠다”며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인센티브를 제외하고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비율을 10%대 중반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ESS를 4대 전략 중 으뜸으로 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성장세가 꺾인 전기차용 배터리보다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 ESS 시장에 방점을 두기로 한 것이다. LG는 2028년 미국 ESS 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르기 위해 내년에 미국에서 ESS 전용 셀 양산에 나서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탈(脫)전기차 전략은 ESS에 국한되지 않는다. UAM, 선박, 로봇 등을 죄다 신사업으로 넣었다. 배터리 리스, 렌털, 재활용 등 다른 배터리 관련 서비스도 확대한다. EaaS 사업은 ESS 시스템 통합(SI)을 확대해 2028년까지 글로벌 3대 기업에 등극하는 게 목표다.
전기차 배터리 사업은 효율성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실적이 좋지 않은 해외 공장에 대해선 2026년까지 운영 효율화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 주력 제품인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로 시장 주도권을 잡은 뒤 2028년까지 고전압 미드 니켈 파우치형 제품과 건식 전극 공정을 활용한 LFP로 제품군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왔고 앞으로도 업계 리더로서 위상을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