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247185.1.jpg)
삼성전자는 이날 “올 3분기 매출 79조원, 영업이익 9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2분기보다 매출은 6.66% 늘었지만 영업이익이 12.84% 감소했다. 2분기에 10조원 넘는 영업이익을 내며 ‘위기론’을 잠재웠지만 곧바로 뒷걸음질 쳤다. 컨센서스(매출 80조9903억원, 영업이익 10조7717억원)에 한참 못 미친 ‘어닝 쇼크’였다. 삼성전자는 “서버와 HBM 수요는 견조했지만, 일부 모바일 고객사가 재고를 조정한 데다 중국 업체의 범용제품 공급이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며 “연말 성과급 1조5000억원을 3분기에 적립하는 등 일회성 비용이 든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3분기 메모리사업 부문 영업이익(5조5000억원)이 메모리사업만 벌이는 SK하이닉스(6조7679억원)에 밀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메모리 챔피언이 30여 년 만에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삼성의 경쟁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전 부회장은 “걱정을 끼쳐 송구하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경영진이 앞장서 꼭 재도약의 계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스마트폰 등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부문과 디스플레이 부문은 3분기 각각 2조6000억원과 1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는 등 나름 선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채연/박의명 기자 why29@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