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281171.1.jpg)
도박 예방 및 근절을 담당하는 주무부처인 사행성통합감독위원회는 "도박 예방 교육과 치유 자료의 전산화를 목표로 한 차세대 디지털 전환 1차 사업이 완료되면서 전체 예산이 축소됐다"고 해명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도박중독 유병률이 특히 높다는 점에서 예산 감소가 정부의 ‘도박 근절 정책’에 역행한다고 지적한다. 도박중독 유병률은 국민 중 도박 문제를 겪는 사람 비율을 뜻한다. 2022년 기준 한국 유병률은 5.5%로 영국(1.5%), 캐나다(1.6%), 호주(3.8%) 등보다 크게 높다. 2022년 당장 치료가 필요한 ‘문제성 도박’ 유병률도 2.1%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도박중독은 경제, 강력 범죄로 이어지기 때문에 특히 위험한 만큼 예방과 조기 치료에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하지만 작년 도박중독 치료를 받은 환자는 2743명에 그친다. 국내 도박 중독자는 약 240만 명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경마·경륜장 등 사행산업 사업자에게 매출의 0.35% 규모인 중독 예방 치유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다. 정부 예산과 부담금을 활용해 전국에 15곳의 도박 문제 예방치유원을 운영하고, 민간 기관과 연계한 중독 상담 서비스도 제공한다. 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매년 8~10월 상담이 끝나고, 희망자가 서비스받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부담금 부과 요율을 선진국 수준인 1~2%로 높여서라도 중독 치료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해국 가톨릭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도박에 중독되면 잃은 돈을 만회하기 위해 절도 등 각종 범죄까지 저지르게 된다”며 “중독자들이 사회에 원활히 복귀할 수 있도록 상담소와 재활센터를 획기적으로 늘려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김다빈/정희원 기자 davinc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