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악몽에 외면받던 ELS 투자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H지수 ELS를 제외한 상품들이 수익을 안겨주면서다. 은행 창구에서 사라졌던 ELS 문의도 늘어나는 추세다. 한 시중은행 자산관리 담당 부행장은 “예금 금리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플러스 알파 수익을 원하는 고객들이 ELS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ELS 발행액은 4조19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8.8% 증가했다. 홍콩 ELS 사태로 내리막을 걷다 반등한 것. 지난해 4분기 6조6500억원에서 올 1분기 4조500억원으로 급감한 ELS 발행액은 2분기엔 4조원을 밑돌았다.
대신 ELS 투자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홍콩 H지수처럼 지수형 상품에 투자하는 ELS 대신 ‘종목형’ 상품을 찾는 고객이 늘어나면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지수형 ELS 발행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44.9% 감소한 9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종목형 ELS는 81.8% 증가한 8조원에 달했다. H지수와 코스피200 같은 지수가 아니라 삼성전자, 테슬라 등 종목의 등락에 베팅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7월부터 발행금액 상위 기초자산 목록에 테슬라가 포함된 것이 대표적이다. 올 들어 줄곧 S&P500, 유로스톡스50, 코스피200, 닛케이225, H지수 등 지수형 상품이 상위권에 포진해왔다.
다만 종목형은 지수형보다 변동성이 큰 고위험 상품으로 분류된다. 15일까지 청약을 받는 한국투자증권의 ‘TRUE ELS 제17406회’는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를 기초자산으로 해 만기까지 최초 기준가 대비 35%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연 14.70% 쿠폰(수익률)을 준다. 금융권 관계자는 “홍콩 H지수 ELS 사태를 겪은 것처럼 고수익 상품은 변동성이 커지면 고위험이 뒤따른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