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391261.1.jpg)
지난달 방문한 버브모션 본사는 언뜻 정체성을 가늠하기 힘들어 보였다. 한쪽에서 엔지니어가 컴퓨터 화면을 뚫어져라 보며 데이터를 추적하고 있는데 다른 한쪽에선 의상 디자이너들이 마네킹 앞에서 분주하게 오갔다. 월시 교수는 “웨어러블 로봇은 로봇 기술과 인체공학, 전기공학, 의류 디자인, 데이터 분석 등 각종 기술의 집결체”라며 “2.8㎏에 불과한 로봇이 노동의 미래를 바꿔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AA.38394207.1.jpg)
휴머노이드와 달리 엑소슈트 같은 웨어러블 로봇의 최대 난점은 자칫 잘못 설계하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다는 것이다. 월시 교수는 “10㎏의 짐을 들 때 6㎏ 정도의 무게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 엑소슈트의 역할”이라며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몸을 틀어 일어나려고 할 때 로봇이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면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웨어러블 로봇 기업들은 센서의 감지 기능과 정밀 데이터 분석에 사활을 걸고 있다. 버브모션만 해도 ‘버브 로직’이라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운영하며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폴 니컬슨 히어로웨어 부사장은 “최근 들어 분야를 가리지 않고 웨어러블 로봇 도입 문의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한 대형 물류기업은 수년간 동종업계 어디에도 에이펙스를 공급하지 않는다는 조건의 독점 계약을 제안하기도 했다”고 귀띔했다.
시장조사업체 밴티지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웨어러블 로봇 시장 규모는 작년 7억2800만달러(약 9983억원)에서 2030년 77억1300만달러(약 10조5776억원)로 급증할 전망이다. 히어로웨어가 글로벌 유통기업과 협업한 올해 연구에 따르면 웨어러블 로봇을 입었을 때 근로자 생산성이 약 8% 올랐다.
산업 현장에 으레 따르는 근골격계 질환 등 각종 잠재적 부가 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이리아 멀먼 버브모션 마케팅·영업부문 총괄은 “웨어러블 로봇을 도입한 현장의 근로자 부상률은 도입 전 대비 60~85% 급감했다”며 “부상 한 건당 드는 직원 의료비가 5만~8만5000달러인 점을 고려하면 기업이 막대한 비용을 아낄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임브리지·내슈빌=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