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출범에 국내 반도체 회사들이 가장 우려하는 건 조 바이든 정부 때 제정된 반도체지원법(칩스법)이 뒤집어지는 것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 법에 따라 미국 정부에서 각각 64억달러(약 8조7600억원)와 4억5000만달러(약 6200억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돼 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트럼프의 과거 행보를 볼 때 칩스법을 무력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칩스법을 유지하더라도 새로운 조건을 내거는 식으로 투자 규모 확대나 보조금 축소 효과를 노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론, 인텔 등 자국 기업에 보조금을 몰아주기 위해 재협상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는 선거운동 과정에서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를 겨냥해 “그들은 우리 사업의 95%를 훔쳤고 그게 지금 대만에 있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트럼프 정부가 첨단 장비에 대한 중국 수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걱정거리다. 삼성전자 낸드플래시의 37%(지난해 기준)를 중국 시안공장에서 생산하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가 만드는 D램의 40%는 중국 우시공장에서 나온다.
IRA가 폐기되면 현대차·기아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차량에 대한 보조금도 사라진다.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앨라배마와 조지아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최근 조지아에 세운 전기차전용공장(HMGMA)도 가동하기 시작했다. 비상이 걸린 건 배터리업체도 마찬가지다. 지금은 미국에서 배터리 셀과 모듈을 생산하면 ㎾h당 각각 35달러와 10달러를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명목으로 받고 있는데, 이 혜택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건설기계 업종은 ‘트럼프 2.0’ 시대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일단 두산밥캣은 북미에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고, HD현대인프라코어와 HD현대건설기계는 지난 9월 미국에 통합 제작센터를 구축한 만큼 관세 부담을 덜었다. 오히려 트럼프 정부가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높이면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 트럼프가 건설 규제 완화를 공언한 것도 호재다. 건설 붐이 일면 장비 수요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국내 대기업들은 트럼프가 향후 어떤 정책을 펼칠지 가늠하기 위해 미국 대관 기능을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가 내놓을 정책을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 미국 내 정보라인을 확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재후/박의명/오현우 기자 h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