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사진)은 27일 홍콩에서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램시마를 올해 1조원 이상 팔았는데, 내년에도 1조원 이상 팔릴 것으로 본다”며 “내년 매출 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 회장은 세계 유일의 피하주사(SC)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성분명 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SC가 내년 73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국 짐펜트라는 7000억원 이상, 바이오시밀러 항암제 트룩시마는 4000억원의 매출을 올려 내년 5조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2026년은 매출 7조~8조원으로 무난히 성장할 것”이라며 “2027년엔 10조원을 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고성장을 이어가 실적과 이익으로 (회사 가치를) 설명하겠다”며 “국내 기업 중에서는 현대자동차·기아 이익(현대차 15조원, 기아 11조원)과 비슷하게 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CDMO 사업 전략도 이날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국내 공장뿐 아니라 인도, 미국, 유럽 등에 연구소를 신설할 예정이다. 서 회장은 “CDMO 사업 확대를 위해선 박사가 500명 정도 필요한데 현재 기술 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인력을 충원해 연구소를 만들고, 특히 반복 실험이 필요한 연구개발(R&D)은 인도에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DMO 사업으로 인한 매출은 2028년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항체, 이중·삼중항체, 펩타이드, 마이크로바이옴(장내 미생물) 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해 스위스 론자 등 경쟁사를 앞지르겠다는 전략이다.
남정민/안대규 기자 peux@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