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서는 입주를 앞둔 수익형 부동산 계약자 대부분이 대출 축소로 잔금 마련에 애를 먹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수도권의 한 레지던스는 대출 중단으로 계약자 700명 중에서 500명이 잔금을 내지 못했다.
지식산업센터는 비아파트 분양 계약자의 ‘돈줄’이 메마른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3~4년 전 호황기 땐 금융권이 너도나도 대출을 내줬다. 기업대출로 분류돼 대출이 분양가의 70~80%까지 나왔다. 하지만 최근 대출은 대부분 분양가의 50%를 밑돈다. 공급 과잉과 경기 부진 등으로 지식산업센터의 담보 가치(가격)가 하락하고 연체 리스크가 커지자 금융권이 대출에 몸을 사리고 있어서다.
오피스텔과 상가 상황도 다르지 않다. 경기도의 한 오피스텔을 분양받은 회사원 B씨는 “대출이 예상만큼 나오지 않아 도저히 잔금을 마련할 수 없다”며 “계약 해지가 가능한지 변호사 상담을 받았다”고 말했다. 아파트에 비해 ‘엑시트’ 수단도 마땅치 않다. 계약자가 손해를 감수하고 분양권 처분에 나서지만 매수세가 끊겨 이마저도 불가능하다. 아파트와 달리 전세 세입자를 들여 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르는 것도 쉽지 않다. 제1금융권은 최근 상업용 부동산 분양자 대상 대출 상품 공급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오피스텔로 용도 전환할 수 있게 구제책을 마련한 레지던스도 대출이 제대로 나오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경기도의 한 레지던스 분양계약자는 “시행사에서 연결해 주는 일부 제2금융권을 제외하고 나머지 금융사는 아예 대출을 취급하지 않는다”고 했다. 일부 레지던스는 시행사와 분양계약자 간 ‘사기 분양’ 소송까지 겹쳐 대규모 잔금 미납부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정부가 가계부채 고삐를 죄면서 아파트 집주인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지난 10월 아파트 분양계약자의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 비율이 30.9%로 가장 많았다. 1년 전(20.8%)보다 10%포인트 넘게 늘었다.
미분양 상가와 오피스텔 등을 대상으로 한 ‘미분양 담보대출’이 막힌 것도 문제다. 그동안 시행사는 금융권에서 오피스텔 등을 담보로 ‘미분양 담보대출’을 받아 건설회사에 공사비 일부를 상환했다. 최근 이마저도 쉽지 않아 자금 사정이 더 나빠지고 있다.
경기 고양시의 한 지식산업센터는 잔금 납부율이 60%를 넘겼지만 금융권에서 미분양 담보대출을 거절했다. 계약금 10%에 중도금까지 더해 70% 정도의 자금이 들어왔지만 미분양 물량(200억원 규모)이 해소되지 않아 중도금 대출을 갚지 못하고 있다. 최근 법원에서 지급 명령을 받아 지식산업센터가 공매로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
심은지/이인혁 기자 summi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