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특검팀에는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가결을 이끈 한 축인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당시 부장검사)도 몸담았다. 이 때는 한 팀으로 활동했던 윤 대통령과 한 대표는 8년 만에 완전히 갈라섰다. 한 대표는 지난 12일 "지금은 탄핵으로 대통령의 직무 집행 정지를 시키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라며 "당론으로 탄핵에 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원내대표 선거 정견 발표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를 회고하기도 했다. 그는 "탄핵보다 무서운 것이 분열이고, 그 분열을 막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당선 이후 탄핵안 부결 당론을 유지하기 위해 힘을 쏟았다. 권 원내대표는 당시 친박근혜계 인사들에게 '탄핵 7적'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누구보다 앞장섰다는 이유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역시 8년 전에는 '탄핵 7적'에 꼽혔다. 정 실장은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였다. 정 실장은 당시 '4월 자진 퇴진, 6월 대선 당론'을 포기하고 탄핵안 표결에 대한 자유투표를 허용했다. 정 실장은 박 전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했는데, 사퇴 기자회견을 통해 "집권여당이 탄핵 표결에 참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의원 개개인의 양심에 따라 자유투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을 설명했다"며 "(대통령과의) 작은 정을 끊고 국가적 대의를 따랐다"고 말했다. 당시 정치권에서는 친박계의 압박 때문에 정 원내대표가 사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8년 전에도 내각에 몸담았고, 현재도 내각에서 일하는 인물도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최 부총리는 2016년 당시 기획재정부 1차관이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관직을 떠났다가 윤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대통령실 경제수석을 거쳐 부총리로 일하고 있다. 2016년 박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대통령직 권한대행을 맡았던 황교안 전 총리는 한동안 '부정선거' 의혹에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 중 하나로 부정선거 가능성을 꼽았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