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 사례처럼 국내 30대 주요 그룹 중 60%가 내년 사업계획을 확정하지 못했거나 다시 수립할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 대기업들이 11월 말~12월 초에 다음해 사업계획을 확정한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한국경제신문이 15일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국내 30대 주요 그룹(금융회사 제외)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설문조사에서 10곳(33.3%)은 2025년을 보름 앞둔 시점인데도 내년 사업계획을 확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8개 그룹(26.7%)은 탄핵 등 큼지막한 변수가 생긴 점을 감안해 사업계획을 수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사업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이유(복수 응답)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55.2%)와 ‘탄핵 등 정치 리스크 확산’(44.8%), ‘내수 위축 심화’(31.0%) 등을 들었다.
내년 경영 환경에 대해선 90%가 “올해보다 나쁠 것”이라고 답했다. 이 중 4개 기업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한 해가 될 것”이라고 했다. 네 곳 중 한 곳꼴로 내년 투자 규모와 신규 채용을 올해보다 10% 줄이겠다고 밝혔다.
CEO들은 국회와 정부가 가장 시급하게 챙겨야 할 항목(복수 응답)으로 ‘정국 안정을 위한 신속한 조치’(70%), ‘환율, 증시 등 금융시장 안정 조치’(70%), ‘상법개정안 등 반기업 법안 폐기’(63.3%) 등을 꼽았다.
내년 최대 리스크 '高관세' 꼽아…탄핵정국·내수부진도 큰 변수로
‘퍼펙트 스톰’에 휘청거리는 국내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산업 패러다임이 뒤바뀌는 중요한 시기에 정치권이 포퓰리즘에 빠져 기업을 옥죄는 규제를 신설하거나 기업 지원 정책을 실기해선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탄핵 정국은 기업 입장에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미국 우선주의’를 정책 1순위에 올린 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정부와 기업이 ‘원팀’이 돼 대(對)중국 관세 60% 부과, 반도체 지원법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전면 재검토 등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실상 정부 없이 기업 홀로 뛰어야 할 판이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이 15일 30개 주요 그룹 CEO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한 결과 ‘트럼프 정부 출범’은 내년 대내외 변수 중 가장 큰 영향을 줄 항목(90%·복수 응답)으로 꼽혔다.
기업들은 탄핵으로 외교·통상 컨트롤타워가 약화한 걸 우려하고 있다. 몇 개월 뒤 바뀔 ‘대통령 권한대행’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4대 그룹의 한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3~4개월이 미국 정부와의 관계 정립에 가장 중요한 시기”라며 “미국 정부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대화 파트너로 인정할지 의문”이라고 했다.
달러당 1430원대로 치솟은 환율도 골칫거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국내 기업들의 대외채무는 1761억달러로 지난해 말보다 55억달러 늘었다. 환율이 뛰면 원화로 환산한 기업의 이자 상환 비용이 늘어나 순이익이 줄어든다. 환율이 10% 상승하면 LG화학의 순이익은 5919억원 감소한다. ‘탄핵이 기업 경영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관한 질문에 30대 그룹 중 26곳이 ‘주가 하락과 환율 불안’을 꼽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산업계에선 기업의 투자 의욕을 북돋고 투자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반도체·인공지능(AI)산업 지원법, 석유화학 등 한계 사업 구조조정 정책이라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경제단체 고위 관계자는 “정책 지원을 실기하면 그 여파는 두고두고 한국 경제에 부담을 줄 것”이라며 “첨단산업 지원법은 정국 혼란과 무관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수/김우섭/김진원 기자 hj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