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이프랜드를 내년 3월 31일까지만 운영한다고 16일 발표했다. 신사업으로 야심 차게 내놨던 메타버스 플랫폼이지만 올해 들어 성장세가 확연히 꺾인 데 따른 결정으로 전해졌다. SK텔레콤은 종료일까지 유료 구매 아이템을 전액 환불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메타버스 사업에 투입한 인력과 비용 상당 부분은 인공지능(AI) 사업으로 전환한다. SK텔레콤 측은 “이프랜드를 운영하면서 축적한 3차원(3D) 이머시브 콘텐츠 제작이나 글로벌 서비스 운영 노하우는 추후 AI 사업에서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가 메타버스 사업에 진출한 것은 2021년 7월 이프랜드를 출시하면서다. 2022년 11월엔 베트남 등 49개국에 서비스를 확대했다. 글로벌 최대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의 동남아시아판을 만든다는 목표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은 눈에 띄게 나빠졌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이프랜드의 지난달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3만4124명에 그쳤다. 지난해 1분기 118만3056명, 올 1분기 59만8631명 등 갈수록 MAU는 쪼그라들었다. 수천 명이 동시에 입장할 수 있는 대규모 메타버스 공연장을 도입하겠다던 계획도 무기한 연기됐다. 이프랜드 사업을 주도하던 양맹석 메타버스사업담당 부사장도 지난 5일 SK스토아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
업계에선 국내 통신사의 ‘신사업 잔혹사(史)’가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통신사는 때마다 특정 분야가 주목받으면 ‘일단 해보자’는 식으로 뛰어들었다가 2~3년 뒤 철수하는 행태가 흔하다는 지적이다. 모바일 메신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메타버스도 마찬가지다. KT는 지난 4월, 8월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라운지’와 ‘지니버스’를 각각 종료했다. LG유플러스가 추진 중인 기업용 메타버스 ‘메타슬랩’ 출시도 지연되고 있다.
네이버제트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역시 사업 확장이 녹록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앱 시장조사 서비스인 앱매직에 따르면 제페토의 전 세계 앱 매출 순위는 지난달 865위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582위)과 비교하면 283계단 내렸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