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투수로 등장한 인물은 아베의 부인 아키에다. 아키에는 이달 15일 미국 플로리다주로 날아가 트럼프와 부인 멜라니아 여사를 만났다. 양국 정부를 통한 것이 아니라 개인적 친분에 따른 만남이었다. 다음날 트럼프는 취임 전 이시바와의 회동 가능성에 대해 “그들(일본)이 원한다면 나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이시바에 퇴짜를 놨던 트럼프의 마음을 돌린 것은 남편의 정적을 도운 아키에였다는 게 일본 정계 평가다. 일본 야당도 힘을 합쳤다. 오구마 신지 입헌민주당 중의원은 18일 국회에서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에게 아키에와 트럼프의 만남을 살려 이시바와 트럼프의 만남으로 이어지도록 요구했다. 오구마 중의원은 일본의 초당파 의원 모임 중 하나인 ‘JICA(일본국제협력기구)의원연맹’ 소속이다. 이 연맹은 당파를 초월해 외교를 정쟁의 도구로 삼지 않겠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곧장 트럼프 측과 일정 조율에 들어갔다.
불안의 기저에는 탄핵 심판이 끝나고 들어설 새 정권의 정책 기조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다. 일본 정계는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주도로 작성된 1차 탄핵안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일본 중심의 기이한 외교정책을 고집하며 일본에 경도된 인사를 정부 주요 직위에 임명하는 등 정책을 펼쳤다’는 내용 때문이다. 민주당 등은 논란이 커지자 2차 탄핵안에선 이 내용을 뺐지만, 이 와중에도 반일 감정을 정쟁에 활용하려는 한국 야당의 모습에 일본 정계는 혀를 내둘렀다.
일본에선 지난 4월 한국 총선 전 ‘모시민(もし民)’이라는 말이 나돌았다. ‘혹시’라는 뜻의 일본어 ‘모시(もし)’에 민주당을 지칭하는 ‘민(民)’을 합친 말이다. 혹시 민주당이 승리하면 한·일 관계가 다시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담긴 단어다. 최근엔 ‘모시명(明)’이 더 유행이다.
당보다 중요한 것은 지도자의 자질이다. 과거 한·일 관계를 개선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민주당이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