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을 불과 석 달 앞두고 벌어지는 이런 일들이 ‘교육은 백년대계’라는 말을 무색하게 한다. AI 교과서 도입에 올해 투입한 예산만 1조2797억원이다. 인프라 구축 8367억원, 교사 연수 3818억원 등 막대한 혈세가 들어갔다. 교과서 지위를 잃으면 비용은 고스란히 학교와 학부모의 몫이 돼 채택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2년간 공들여 개발하고 검정까지 통과한 콘텐츠가 사장될 게 뻔하다. 정부가 출판사들로부터 1000억원대 소송을 당할 우려도 있다. 이 역시 국민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 민주노총과 전교조의 말이라면 다 들어주는 민주당이라고 하지만, 문제가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AI 교과서는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도입한 정책이다.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따라 최적의 맞춤형 학습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기대한 효과가 나온다면 공교육 정상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가계를 짓누르는 사교육비 절감도 가능하다. 물론 학생들의 문해력·집중력을 저하하고 아이들의 디지털 의존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당장 내년 도입 예정인 과목만 놓고 보면 문해력 저하 우려는 과도하다. 학생들이 디지털 의존을 넘어 학습에 활용하는 습관과 능력을 키울 수도 있다.
일부의 일탈과 부작용이 걱정된다고 무작정 AI 교과서를 배척하는 건 무책임할 뿐 아니라 시대착오다. 이미 AI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느냐가 국가와 개인의 미래를 좌우할 정도다.
도입 불가를 외치는 일부 교사와 학부모들은 그저 변화가 싫어서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건 아닌지 자문해 볼 일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