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에서 MZ세대의 이미지는 부정적이었다. 현실에 체념하고 냉소적인 태도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편견이 있었다. ‘인생은 고통’이라고 말한 염세의 철학자 쇼펜하우어가 인기를 끈 것도 세상을 대하는 그의 태도에 공감한 젊은이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직장에서도 사회에서도 그들은 약간의 문제적 세대로 인식됐다.
최근 한 달 새 이들의 이미지는 180도 달라졌다. 약자와 연대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책임감으로 앞장서 길거리로 나오는 계층, 가장 어두운 곳에서도 희망을 찾고 전 세대에 용기를 주는 사람들. 이들이 나서는 이유는 단 하나, 우리 사회가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희망을 걸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이 바라본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응답자의 49%가 현재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정치적 불안정성 △경제 양극화 △세대 간 갈등 등을 가장 우려되는 문제로 꼽았다.
특히 한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혼란에 빠진 상황이다. 응답자의 88%는 정치 환경이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반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한 이들은 3%에 불과했다.
이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치적 가치는 국민 복지와 삶의 질 향상(37%)이었으며 뒤를 이어 공정성과 투명성(20%)을 언급했다. 이를 위해 실용적이고 실행력 높은 정책가(39%), 청렴하고 공정한 리더(25%)가 우리 사회에 필요하다고 답했다.
2030세대는 직접 사회를 바꾸기 위해 나서고 있다. 최근 여의도와 광화문 일대에서 이어지는 탄핵 시위와 집회를 주도하는 이들은 젊은층이다.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는 설문조사에서도 드러났다. ‘2030세대가 한국 사회와 경제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가장 큰 역할’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4명 중 1명은 ‘정치 및 사회적 참여 확대’를 꼽았다.
2030세대가 바라는 것은 ‘더 나은 미래’다. 우리 사회가 가장 시급하게 개선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주거 안정(27%) △물가 안정(25%) △일자리 문제(22%) 등을 언급했다. 또 2030세대를 위한 정책 접근 방식으로는 △청년층의 직접 참여와 소통 강화(36%) △장기적 로드맵 수립(26%)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는 여성 134명, 남성 78명 등 총 212명이 참여했다. 연령대별 비중은 △20~24세 6% △25~29세 20% △30~34세 38% △35~39세 36% 등이다. 직업군으로는 △직장인 62% △취업준비생 17% △자영업 13% △학생 7% 순으로 나타났다.
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