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선 부동산 시장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분양가 조정 압박,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이어지면서 건설사들이 공급 계획을 잡지 못하거나 연기하는 등 고민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새 아파트 희소성이 상대적으로 부각되는 만큼 수도권 분양시장은 연초부터 달아오를 전망이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월 수도권에선 총 5900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2032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서울에서 1개 단지, 1097가구가 공급된다.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가 주인공이다. 지하 4층~지상 최고 22층, 총 16개 동 규모로 지어진다. 1097가구 중 482가구(전용면적 59~120㎡)를 일반에 공급한다.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전용 59㎡(157가구)와 84㎡(265가구)가 많다.
서리풀터널 개통으로 교통이 좋아진 내방역이 가까이 있다. 단지는 평지에 들어선다. 동작대로와 이수 고가차로를 통해 강북이나 여의도 등으로 이동하기도 쉽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아 분양가는 3.3㎡당 6500만~6700만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앞서 공급한 디에이치 방배(3.3㎡당 6496만원)보다 조금 높다. 단순 계산으로 전용 59㎡는 16억~17억원, 84㎡는 22억~23억원이 될 전망이다. 연초부터 흥행 돌풍을 일으킬 것이란 기대가 높다.
인천에선 다음달 분양을 계획 중인 단지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2~3월께 서구 검단신도시와 미추홀구 학익동 등을 중심으로 일부 분양 물량이 나올 예정이다. 관심을 끄는 단지는 미추홀구 학익동 587 일대에 공급되는 시티오씨엘7단지다. 9개 동 최고 42층 규모로 지어진다. 1478가구를 모두 일반분양한다.
경기에서도 양주, 화성, 오산 등 외곽 지역 물량이 분양 대기 중이다. 총 4개 단지 4803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일반공급 물량은 1550가구다.
경기 북부에선 한양건설이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서 ‘양주 백석 한양립스’를 내놓는다. 지하 1층~지상 23층, 25개 동, 1556가구로 조성된다. 이 중 46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전용면적 59~84㎡ 중소형 면적 위주로 이뤄진다. 모든 가구를 남향 위주로 배치한다. 4베이(방 3개와 거실 전면 향 배치) 판상형 위주로 설계해 채광과 통풍, 개방감이 좋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같은 달 의정부시 호원동 281의 21 일원에 ‘힐스테이트 회룡역 파크뷰’를 분양할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3층, 12개 동, 총 1816가구(전용 39~84㎡) 규모다. 이 중 674가구(전용 59·84㎡)를 일반에 공급한다. 도봉구와 노원구가 단지 반경 3㎞ 거리에 있어 서울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회룡역에서 지하철 1호선을 타고 서울 시청역과 강남구청역 등 주요 업무지구까지 40분이면 닿는다.
경기 남부권에선 금호건설이 오산시 세교2지구 A12블록에 주거 브랜드 ‘아테라’를 내세운 단지를 내놓는다. 지하 2층~지상 25층, 6개 동, 59㎡ 단일 평형으로 433가구가 들어선다. 이 중 221가구는 일반분양 몫이다. 전 가구를 남향으로 배치해 통풍과 채광, 개방감을 높인다는 설명이다.
서희건설은 화성시 비봉면 구포리 1028 일대에 ‘화성 야목역 서희스타힐스 그랜드힐’을 공급한다. 총 998가구 중 190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서 연내 공급하지 못한 단지가 어수선한 연초보다는 내년 2~3월까지 밀리는 사례가 많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새해 수도권 분양시장에는 공급 물량 부족으로 새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