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과 골리앗의 결투에 관한 얘기는 성서 사무엘 17장에 나온다. 베들레헴 출신 젊은 목동 다윗은 무장도 하지 않은 채 블레셋의 거인 용사 골리앗과 싸우겠다고 나선다. 결투에서 승리한 쪽이 패자를 정복할 수 있는 운명이 걸린 싸움이었다. 큰 키의 골리앗은 갑옷과 투구로 무장하고 커다란 창까지 들고 있었다.
다윗은 예상을 뒤집고 물맷돌 하나로 골리앗의 이마에 정확히 맞혀 쓰러뜨린 뒤 그의 칼집에서 칼을 뽑아 목 베어 죽였다. 다윗은 골리앗의 목을 들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온다. 서양미술사에서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을 다룬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다. 카라바조도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을 여러 버전의 그림으로 그렸다.
전시에 온 그림에서 다윗이 왼손으로 쥐고 있는 골리앗의 잘린 머리는 피폐해진 카라바조의 자화상이라는 해석이 유력하다. 카라바조 전기를 쓴 조반니 피에트로 벨로리(1613~1696)에 따르면 골리앗의 머리는 실제로 카라바조의 자화상이었다고 한다.
피 흘리는 골리앗의 얼굴은 흉측하고 처참하다. 카라바조 전기 작가들은 이런 골리앗의 얼굴이 단순한 회화적 표현을 넘어 카라바조가 자기 내면을 그린 것으로 해석한다. 반면에 승리한 다윗의 표정은 슬픔과 연민으로 가득 차 있다. 조금만 건드리면 눈물이라도 흘릴 것 같은 마음이 전해진다. 다윗은 골리앗을 상대로 기적과도 같은 승리를 거뒀는데 어째서 기뻐하지 않고 슬픈 얼굴을 한 것일까.
골리앗이 카라바조의 자화상이었다면 다윗은 누구였을까에 관한 해석도 분분하다. 일부에서는 다윗 역시 젊은 시절의 카라바조 자신을 그린 것이라고 해석한다.
카라바조가 승자와 패자의 두 얼굴을 선명하게 대비한 것은 두 인물의 복잡한 심리적 연결을 통한 장엄함을 느끼게 해준다. 카라바조가 자기 목 잘린 얼굴까지 그린 이 그림이 주는 메시지는 자기 참회이다. 그런데 승자인 다윗이 기뻐하거나 들뜨지 않고 죽은 자에게 연민과 슬픔을 드러내는 모습은 작품의 의미를 한층 깊게 만든다. 순간의 승리에 기뻐하지 않고 죽은 자에게 연민을 드러내는 영웅, 아니 인간의 모습인 것이다. 카라바조의 그림은 인간 중심적이다. 주름살이 깊이 패고 더러운 맨발 차림의 가난한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배경에는 미화하기 위한 어떤 치장도 없다. 빛과 어둠의 대비 효과를 사용하며 오직 보이는 대로 그렸을 뿐이다. 하지만 카라바조의 그림에 나오는 평범한 인물들은 하나같이 존엄해 보인다.
기적같이 승자가 된 다윗의 얼굴에서 읽히는 표정도 그런 것 아니겠는가. 자신이 참회하고 있음을 보이기 위해 목 잘린 자화상을 그리기는 했지만, 자신을 칼로 벤 다윗이 연민을 갖고 슬픈 표정을 짓는 모습은 얼마나 인간적인가. 카라바조도 그림 속 자신의 처참한 죽음이 슬펐던 것이다.
※ 이 글은 지난 22일 별세한 유창선 평론가(1960~2024)가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에 마지막으로 기고한 칼럼입니다. 삼가 고인의 별세를 애도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