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전남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승무원 두 명은 사고 당시 충격으로 여객기 꼬리 부분이 떨어져 나오면서 생존할 수 있었다.
사고 11분 만인 29일 오전 9시 14분경 현장에 도착한 119 구조대는 기체에서 떨어져 나온 꼬리 쪽으로 접근했다.
꼬리 입구엔 불이 붙어 있었고 안에선 "살려달라"는 목소리가 들려 구조대가 화재를 진압하면서 내부로 접근했다.
꼬리칸에서 발견된 30대 남성 승무원은 상처를 입고 서 있었고, 20대 여성 승무원은 철제 캐비닛이 쓰러지면서 그 밑에 깔려 있었다.
구조대는 오전 9시 23분쯤, 남성 승무원을 먼저 구조했고, 27분 뒤인 9시 50분쯤엔 여성 승무원을 누르고 있던 캐비닛을 유압 장비로 들어 올린 뒤 구조했다.
구조 당시 여성 승무원은 의식이 있고 말도 가능했지만 남성 승무원은 충격 때문에 넋이 나간 상태였고 사고 당시 상황을 기억하지 못했다. 그는 병원에 옮겨진 후에도 "깨어보니 구조돼 있더라"라고 했다.
승무원들은 현재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중이다.
제주항공 측은 생존 승무원들이 완치될 때까지 지원할 것이며 완치 후 본인 희망에 따라 근무 관련해 협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사고 여객기에 타고 있던 승무원과 승객 181명 중 179명의 시신은 11시간여만에 모두 수습돼 공항 격납고에 마련된 임시 안치소에 안치돼 있는 상태다.
수습된 사망자 가운데 164명은 신원이 확인됐고, 나머지 15명에 대한 신원 확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지문으로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시신의 경우 DNA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사망자 가운데 90명의 희생자는 필요한 절차를 모두 마치고 유족에게 인도돼 장례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신을 인도받은 유족들은 각자의 판단에 따라 개별적으로 장례를 치르거나 합동 장례를 치르게 된다.
당국은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현장 감식과 유류품 수거 작업 등을 계속한다. 비행자료기록장치(FDR)와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는 사고 당일 이미 수거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사고기 기체 제작사인 보잉 관계자들도 이날부터 현장 조사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 등이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과 활주로 길이가 2800m로 다른 공항보다 짧은 편인 무안공항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점검할 예정이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