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학 전문가인 콜먼 교수는 지난달 28일 이강호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와 만난 자리에서 “한국은 인간 삶에서 전례가 없는, 완전히 새로운 모험의 최전선”이라며 “한국이 인구 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하기만 해도 세계 모범이 될 것”이라고 했다.
콜먼 교수는 “합계출산율이 1.8명을 오르내리는 수준을 유지하는 프랑스를 보면 중요한 건 정책의 지속성”이라며 “프랑스는 정부가 바뀌어도 직장 여성이 아이를 갖도록 돕고 아이 있는 여성이 일하도록 돕는 정책을 변함없이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족을 지원하고 성평등을 이룰 제도적 노력을 이어가는 동시에 사회·문화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콜먼 교수는 “결혼이나 법적 혼인은 아니더라도 안정적으로 동거하는 결합을 ‘매력적인’ 것으로 바꿔가야 한다”며 “교육 과열과 같은 한국식 경쟁 풍토를 바꿔 가정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콜먼 교수는 옥스퍼드 세인트존스칼리지 교수와 영국 내무부 및 환경부 특별고문을 지낸 세계적인 인구 문제 전문가다. 19년 전 콜먼 교수가 한국의 인구 감소 문제의 심각성을 경고했을 때보다 상황이 크게 악화했다는 평가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은 2006년 1.13명에서 2023년에는 0.72명으로 떨어졌다. 2024년 0.74명으로 반등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지만, 여전히 세계 꼴찌 수준이다. 고령화 속도도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고령사회’(65세 인구 비율 14%)에 진입한 지 7년 만인 지난해 12월 65세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