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선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고하는 진단·예방 기술이 대거 공개된다. 과거와 달라진 건 하나같이 인공지능(AI)을 장착해 예방 및 진단·관리가 훨씬 간편해지고 똑똑해졌다는 점이다.
폴란드 스타트업 스테토미는 아이의 가슴 부위에 갖다 대면 호흡기 질환을 진단해주는 기기를 들고나온다. 심박수, 호흡, 심장 소리 등을 훈련된 AI가 분석해 원인과 치료법을 알려준다. 사람 귀로는 듣기 힘든 천명음 등 미세한 소리도 놓치지 않는 만큼 정확도는 의사 뺨친다. 캐서린 반 데어 스트레이트텐 겐트대 교수는 “만성 폐 질환 환자가 상시 폐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AI를 활용해 정신 질환을 예방하는 솔루션도 나왔다. LG전자가 육성해 분사한 릴리프AI는 플랫폼에 일기 같은 글을 쓰면 AI 알고리즘이 감정 상태 등을 분석해 조언하거나 전문 테라피스트를 추천해주는 플랫폼을 내놓는다.
이런 전통적 신약 개발 프로세스를 바꾸는 것도 AI다. 만성 폐 질환인 특발성 폐섬유화증 치료제 ‘INS018-055’를 개발한 미국 인실리코메디슨은 AI를 활용해 후보 물질을 단 46일 만에 찾아낸 데 이어 임상 2상에서 효과를 인정받았다. AI 덕분에 관련 비용은 10분의 1(4억달러→4000만달러)로 줄었고, 개발 기간은 3분의 1(6년→2년)로 단축됐다. 엔비디아가 투자한 리커전파마슈티컬스가 신경섬유종증 치료제, 유전성 대장암 치료제 등 여러 신약 후보 물질을 보유한 배경에도 AI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AI 덕분에 앞으로 약효가 좋은 신약이 더 빨리, 더 많이 나올 것”이라며 “예방·진단 효율화와 치료제 혁신이 함께 이뤄지면 ‘평균 연령 120세 시대’가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은 대세가 될 전망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시장 규모가 2023년 9억270만달러(약 1조3300억원)에서 2028년 48억9360만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AI는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도 활용되고 있다. AI를 활용하면 치료비용을 낮출 뿐 아니라 원격진료도 보편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CES에서 무인 의료시스템을 선보이는 미국 기업 온메드가 대표적이다. ‘클리닉인어박스(Clinic-in-a-Box)’ 특허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온메드 케어스테이션’은 가상의 의사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해 원격으로 실시간 상담하고 약도 처방한다. 노숙자 쉼터 등에 설치하면 의료 취약계층도 소외되지 않을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한다. 국내 기업인 메디코스바이오텍은 상처 사진을 앱에 올리면 상처를 1기에서 4기까지 분류해 치료법을 제시하는 앱을 공개한다.
라스베이거스=김채연/박의명 기자 why29@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