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벤처캐피털(VC) 대표에게 올해 벤처투자 시장 전망을 묻자 돌아온 답이다. 이 대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졌을 때도 이 정도까진 아니었다”며 “중후기 전문 VC들은 (투자에) 들어가서 마이너스, 또 마이너스”라고 말했다. 상장 시장이 침체하면서 스타트업들이 IPO를 포기하거나 상장 후에도 성적이 좋지 않은 상황을 언급한 것이다.
다른 VC 대표에게 올해 기대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묻자 그는 IPO를 준비 중인 기업들을 소개했다. 이 중 상당수는 해외 상장을 추진 중이다. 그는 “지금 코스닥시장에선 상대 가치 평가가 안 나온다”며 “의미 있는 IPO 시장이 되려면 코스닥지수가 850~1000 사이에서 굴러가면서 공모 수요를 만들어줘야 하는데 지금은 그게 안 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실제로 적지 않은 스타트업이 국내 상장을 포기하고 해외로 눈길을 돌렸다. 국내 벤처업계의 최대어인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는 미국 증시로 방향을 틀었다. 케이뱅크가 기관투자가 수요 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해 상장을 연기한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 여행 플랫폼 야놀자 등 주요 유니콘 기업도 모두 해외 상장을 저울질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국내 증시가 플랫폼의 기술적 역량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고 토로한다. 한 유니콘 기업 관계자는 “기업 가치를 평가받을 때 전통 기업들과 비교산업으로 묶이는데 국내 증시에서 상당히 저평가된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다 보니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플랫폼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역량을 강조하는 등 테크 기업 이미지를 씌우는 데 여념이 없다.
문제는 국내 회수 시장 경색이 당장 엑시트를 준비 중인 기업뿐만 아니라 초기 벤처투자 시장까지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회수 과정이 만만치 않으니 VC들은 초기 투자부터 망설인다. 잭팟을 터뜨린 창업자가 안 나오니 주요 인재도 창업을 꺼린다. 한 초기투자사 관계자는 “회수가 확실한 기업에만 투자금이 쏠리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당장 지수를 확 끌어올릴 수는 없어도 다양한 회수 경로를 뚫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 4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벤처펀드 규모만 28조원이다.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이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인수합병(M&A)에 역할을 하거나 다양한 세컨더리펀드가 나와 중간 회수 시장을 키울 수도 있다. CVC 외부 출자 규제를 풀거나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를 제도화하는 게 물꼬가 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