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주요 7개국(G7)이 줄줄이 정권 교체와 리더십 위기에 처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속된 고물가와 이민자 유입, 급증한 재정적자 등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외 국가는 보편관세 등 ‘트럼프 리스크’까지 떠안으면서 미국과 나머지 G6 간 분열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다.
집권 9년 만에 물러나는 트뤼도
6일(현지시간) 사임을 발표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처음으로 총리직에 오른 2015년만 하더라도 지지율이 70%에 육박한 ‘젊은 스타’였다. 하지만 고물가, 주택 가격 상승, 이민자 문제 등으로 국민 불만이 누적되며 트뤼도 총리 지지율은 지난 2년여간 하락세를 보였다.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캐나다는 선진국 가운데 1인당 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로 꼽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생활비 급등, 주택 문제 등으로 트뤼도 총리 인기가 폭락했다”며 “이민자를 받아들여 팬데믹 이후 캐나다 경제를 부양하려는 그의 노력도 광범위한 반발에 직면했다”고 전했다.
특히 트뤼도 총리의 핵심 지지 세력인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전 부총리 겸 재무장관이 지난달 16일 전격 사임한 이후 트뤼도 총리 퇴진론이 본격 부상했다. 프릴랜드 전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보편관세에 대응한 트뤼도 총리의 단기 지출 확대와 재정적자 증가 정책에 반대 입장을 밝히며 사임했다. FT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발표된 앵거스리드 여론조사에서 자유당 지지율은 트뤼도 총리 집권 이래 최저치인 16%로 나타났다.
경제 문제가 유발한 리더십 공백
리더십 위기는 캐나다만의 문제가 아니다. 독일과 프랑스는 최근 총리 불신임 사태를 겪었다. 독일은 ‘신호등 연정’ 붕괴에 이어 지난달 16일 올라프 숄츠 총리(사회민주당·SPD)가 독일 연방의회에서 불신임됐다. 이에 따라 차기 총선은 올해 2월로 앞당겨졌다.프랑스 하원은 지난달 5일 미셸 바르니에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을 가결해 프랑스에서 62년 만에 총리가 불신임으로 물러났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이후 프랑수아 바이루 민주운동당 대표를 신임 총리로 임명했지만, 여전히 정국 혼란은 이어지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을 향한 퇴진 압박도 계속돼 그가 임기를 다 채울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지지율 하락에 시달리고 있다. 가디언에 따르면 노동당 지지율은 지난해 7월 총선 이후 6개월간 7%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1992년을 제외하면 지난 40여 년간 가장 큰 낙폭이다. 여론조사기관 유거브는 지난달 중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8%가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 점을 들며 경제 문제가 영국인의 가장 큰 우려 사항이라고 분석했다.
미국과 G6 간 분열 움직임도
트럼프 당선인이 보편관세 등으로 유럽과 캐나다를 압박하면서 미국과 나머지 G6 간 분열 조짐도 감지된다. 이에 더해 트럼프 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내정 간섭 논란까지 빚고 있다. 독일 극우 정당 독일을위한대안(AfD)을 공개 지지한 머스크는 지난달 20일 X(옛 트위터)에 “AfD만 독일을 구할 수 있다”고 썼다. 숄츠 총리에 대해서는 “무능한 멍청이이며 사퇴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숄츠 총리는 머스크를 향해 “관심을 끌기 위해 시비를 거는 ‘트롤’”이라고 반격했다.마크롱 대통령 역시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가디언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10년 전만 해도 세계 최대 SNS인 X 소유주가 새로운 국제 반동 운동을 지원하고 독일을 포함한 선거에 직접 개입할 것이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느냐”고 언급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