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증시 성적은 처참했다. 미국과 일본의 주요 지수가 사상 최고가 행진을 하는 동안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못난이 형제처럼 사이좋게 뒷걸음쳤다. 주요국 중 가장 부진했다. 기간을 늘려 보면 더 한숨이 나온다. 나스닥은 20년 전보다 9배 넘게 올랐다. S&P500은 5배, 닛케이225는 3.5배 뛰었다. 하지만 코스피는 2.7배, 코스닥은 1.8배 오르는 데 그쳤다.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한국 증시의 성적표는 꽤 준수했다. 글로벌 주요 증시에 뒤처지지 않았다. 한국 증시가 무너지기 시작한 것은 2015년을 지나면서다. 그즈음 나스닥과 차이가 벌어졌고 2019년에는 S&P와도 멀어졌다. 2022년께부터는 닛케이에도 밀렸다. 결국 지난해 글로벌 꼴찌가 됐다. 도대체 지난 10년간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지난 10년간의 패착
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요인이 어디 한두 가지겠냐마는, 그래도 지난 10년간 한국 증시가 유난히 뒤처진 가장 큰 이유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 폭이 역사적으로 가장 컸던 시기가 2015년이다. 달리 말하면 그 이후 경상수지는 계속 내리막을 탔다는 얘기다. 한국 수출산업이 그즈음 일제히 꺾였다. 휴대폰과 액정표시장치(LCD), PC 등 우리 주력 전자제품을 비롯해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이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출산업이 중국에 추월당하기 시작한 것이다. 미국에 성장률이 뒤지는 저성장 쇼크가 현실이 됐다. 사회 곳곳에서 구조개혁을 서둘려야 한다는 경고가 터져 나왔지만 공허하게 메아리쳤다. 19대 국회 후반기 여야는 역대급 정쟁에 여념이 없었고 경제 살리기 법안과 노동개혁 법안은 뒷전이 됐다.
그해 일본과 미국의 설비 투자를 대폭 늘렸다. 빅테크는 질주하기 시작했다. 미국 실리콘밸리 거물들이 모여 오픈AI를 설립한 것도 그때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은 정부 압박에 사상 최대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풀었고 결국 투자를 줄여야 했다.
2015년 우리 기업의 총투자율은 1998년을 제외하면 산업화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해 한국 증시 성적은 그 연이은 패착이 10년간 켜켜이 쌓인 결과다. 반도체가 흔들리고 한동안 구원투수 역할을 하던 2차전지마저 꺼지자 한국 증시의 민망한 체력이 드러난 것이다.
K증시 대표주 더 나오려면
한국 증시의 ‘왕따’ 현상은 유동성 투입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반도체와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전 20%에 못 미쳤다. 하지만 계속 불어나 지금은 30%를 웃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가 삐끗하면 증시가, 아니 나라가 망할 판이다. 향후 10년, 20년이 더 걸리더라도 이 왜곡된 산업 구조를 바꿀 수 있도록 혁신 기업을 찾아서 길러내고 우리 증시를 떠받치게 해야 한다. 미국과 중국에선 이미 장외에서도 삼성전자 몸값을 추월하는 기업이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스페이스X와 바이트댄스의 몸값이 삼성전자 시가총액을 넘어섰고, 10년 차인 오픈AI도 삼성전자를 따라잡을 기세다. 우리가 지금부터 바뀌지 않으면 다음 10년의 한국 증시도 답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