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1월 09일 15:15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63빌딩 시공사이자 시공능력 순위 58위인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에 국내외 신용평가사들도 건설업종을 예의주시하고 나섰다.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인 롯데건설, KCC건설, 한신공영 등을 중심으로 등급 하향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9일 국내 신용평가사인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건설업 관련 신용도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58위의 중견 건설사인 신동아건설이 지난 6일 법정관리를 신청한 데 따른 결과다. 신동아건설은 2019년 11월 워크아웃에서 졸업했다. 하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경기가 얼어 붙으면서 유동성 위기에 시달렸다.
나이스신용평가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견 건설사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건설업황에 대한 추가적인 저하 위험이 존재한다”며 “건설 업황 저하에 따른 위험 변동성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회사별 위험 대응능력에 대해서도 면밀한 점검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신용평가도 건설업을 주시하고 있다. 올해 건설업의 산업 전망과 신용 전망을 모두 ‘부정적’으로 매겼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에서 좀처럼 벗어나고 있지 못해서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건설사 합산 보증 부동산 PF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27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20조4000억원, 2022년 23조7000억원, 2023년 27조1000억원 등 오름세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경고장을 날렸다. S&P는 지난 7일 발행한 보고서에서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은 국내 부동산 시장의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며 “향후 1~2년 동안 부동산 시장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사의 재무 상태가 악화할 것이라는 의견도 내놨다. S&P는 “건설공사 원가가 많이 증가하면서 일부 건설사들의 재무적 부담은 확대되고 있다”며 “지방을 중심으로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상반기 신용평가사 정기평정을 앞두고 건설사 신용도 줄강등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이미 롯데건설, KCC건설, 한신공영 등의 신용등급 전망에 ‘부정적’ 꼬리표를 매겼다. 이번 정기평정에서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