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지난 10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에서 기자와 만나 “AI는 직장인들의 업무에만 쓰이는 게 아니라는 점을 알려주고 싶었다”며 “동네 6070 어르신들도 쉽게 쓸 수 있고, 모든 국민의 생활에서 삶의 질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이달 초
그가 AI 기술의 세계에 몰입하게 된 계기는 지난해 4월 총선 낙선이었다. 그는 “아쉽고 화나는 마음을 달래고자 낙선 후 20일 만에 짐을 싸 홀로 해외여행을 떠났다”며 “석 달간 동남아시아부터 인도, 네팔을 거쳐 중앙아시아, 동유럽에 이르는 여행길에서 챗GPT와 클로드의 놀라운 능력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13개국을 거치며 영어 외에도 30여 개 외국어를 맞닥뜨릴 때마다 이들 도구는 ‘나만의 만능 가이드’가 돼줬다.
김 전 의원은 여행으로 낙선 후 가진 부정적 감정을 떨쳐냄은 물론, AI와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여행한 경험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열정이 생겼다. 한 달 만에 ‘AI로 여행하기’를 주제로 원고를 써 출판사에 달려갔다. 출판사에서 ‘전반적인 실생활로 넓혀 보자’고 수정을 제안해 지금의 책이 나왔다.
김 전 의원은 정치인으로 다진 소통 능력을 무기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AI 강의를 다녔다. 보험모집인, 동네 노인정, 주부 모임 등을 가리지 않았다. 그는 “강의 후 어르신들이 ‘대소변을 사진 찍어 AI로 건강 상태를 진단해봤다’거나 ‘손주에게 쓸 편지를 쓰는 데 도움을 받았다’는 등 기상천외한 사용법 피드백 문자를 보내와 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요즘도 주 3회 이상 AI 강연을 나간다고 한다.
두 번째 저서
박종필/사진=임형택 기자 j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