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조례 개정안에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개발과 이용, 도민의 권익 보호,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기본법(안)’에 제시된 조항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AI가 가져올 법적 및 사회적 영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 기본법’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경기연구원은 이를 위해 기본이념, 데이터 저작권 확보, 규제 기준 제시, 교육 지원, 국제 협력 및 글로벌 포용 정책, 지역 AI 진흥, 결과물에 대한 표시 가이드, 안전성 평가 전문기관, AI 리터러시 교육,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의무, AI 위험성 모니터링, AI의 사회적 활용, 포상 및 불이익 금지 조치 등 다양한 조항을 검토하고 제안했다.
또 광역 및 기초지자체는 ‘AI 기본법’과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AI 기본조례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도 꼽았다.
이의 실현을 위해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지역 AI 위원회’를 설치해 ‘AI 거버넌스’를 구성해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아울러 ‘AI 기본법(안)’이 마련되기 전에 제정된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의 개정을 통해 AI의 안전성, 편리성, 효율성, 투명성, 기술 발전 및 산업 진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합계획 및 실행계획 수립, 실태 조사 실시, 기술 개발 지원, 기업 유치 및 창업 지원, 인력 양성, 민관 협의체 구성(시군 및 산하기관 포함), 자치단체 인공지능위원회 운영, 포상 및 면책 제도 도입, AI 리터러시 확산 등을 포함한 개정안도 제시했다.
특히 AI 활성화를 위해 도와 31개 시군의 △정책 이니셔티브를 관리하는 AI 담당관 지정 △AI 기반 행정 강화 △AI 안전성 및 신뢰성 지원 △AI 인력양성 △AI 리터러시 확대 △AI 관련 정책 공모 등 일상 속 AI 활용 확산 지원책을 강조했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AI 혁신정책센터장은 “경기도의 AI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지방정부와의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함께 협력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의 개정과 경기도 AI 거버넌스의 구성 및 운영, AI 투자와 활용 확산을 위한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한 만큼 31개 시군과 협력해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AI 정책을 조정하고, 공공행정에서 AI 활용의 효율성을 높여 지역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기병 도 AI국장은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AI 기본조례를 제정했고 여러 공공 행정 분야에 AI 활용 및 강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새로 제정된 AI 기본법 취지에 맞춰 경기도 AI 기본조례를 정비하고 AI 기업의 경쟁력과 공공행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AI 생태계를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