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공회의소는 최근 인천지역 소재 기업 168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천지역 기업이 바라본 2025년 경제·경영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 기업 67.7%는 2024년 영업이익이 목표 수준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내수부진(59.5%)을 주요 미달 요인으로 꼽았다.
2025년 내수판매·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52.2%가 전년보다 내수판매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판매 ‘증가’를 예상한 기업은 25.5%,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2.4%에 머물렀다.
전년 대비 수출(해외 판매)이 감소(29.7%)할 것이라고 한 응답이 증가(28.5%)할 것이라고 한 응답보다 소폭 앞섰다.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41.8%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기업들은 2025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경제·사회 양극화 심화(28.3%)와 물가 변동성 확대(22.8%)를 꼽았다. 건설·부동산 시장 위축(16.3%), 가계부채 심화(10.1%), 기업부담 입법 강화(10.1%), 고령화 등 내수 구조 약화(8.5%), 노사갈등 리스크(3.3%)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경영활동에 가장 위협이 되는 대외 리스크 요인은 트럼프 2기 통상정책(33.8%), 유가·원자재가 변동성(13.8%), 한국 수출·산업 경쟁력 약화(12.8%), 전쟁 등 지정학 긴장 장기화(11.6%), 고환율 기조(11.3%), 중국 내수 침체(8.1%), 세계 공급망 재편·블록화(7.8%) 등이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내수경기 진작은 물론 안정적인 수출 여건 조성을 위한 대체 공급망 발굴 지원 등 공급망 리스크 재발 방지, 환율 안정화, 수출 기업 지원 확대 등 선제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