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업계에 따르면 DSRV는 일본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김지윤 DSRV 대표는 지난달부터 일본에 체류하며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지난달 초 일본 현지에서 일 금융청(FSA) 관계자들을 만나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DSRV는 일본 내 스테이블코인 사업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미 달러 등 법정화폐와 가격이 연동된 가상자산이다. 비트코인(BTC) 등 일반 가상자산보다 가격 변동성이 낮아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김 대표는 올 2월 출범한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산하 '스테이블코인협의회' 초대 회장을 맡았다.
DSRV가 일본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배경에는 일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육성 의지가 있다. 일본은 일찌감치 스테이블코인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2022년부터 제도 정비에 착수했다. 2023년에는 자금결제법 개정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전자결제수단'으로 분류하며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일본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스테이블코인 관련법을 추가 개정하는 등 제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친가상자산 정책의 핵심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연설을 통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스테이블코인 육성 의지를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최근 2000억달러(약 294조원)를 돌파한 배경에도 이런 맥락이 있다. 실물연계자산(RWA) 데이터 분석 플랫폼 rwaxyz에 따르면 이날 기준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총은 한 달 전보다 3.18% 증가한 2273억 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미 자산운용사 번스타인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올해 5000억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2025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다음번에 올 실질적인 가상자산 채택 흐름은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DSRV는 결제, 커스터디(수탁) 등 신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DSRV가 지난해 금융당국에서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센스를 받은 것도 이 때문이다.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추진 중인 코스닥 상장을 위해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DSRV는 올 초 연매출을 지난해 100억원에서 올해 300억원으로 3배 가까이 끌어올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strong>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준형 블루밍비트 기자 gilson@bloomingbit.io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