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기후대응 도시숲’, ‘도시바람길 숲’, ‘자녀안심 그린숲’ 등 정원형 도시숲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생활권 공간에 숲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부산시에 따르면 도시숲에서 0.4마이크로미터(㎛) 이하 극초미세먼지가 공기 중에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침강 효과가 있다.
시는 60억원을 투입해 해운대 수목원, 신평장림산업단지, 일광유원지 등 세 곳에 기후대응 도시숲을 조성한다. 산업단지 등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생활권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숲이다.
대연수목전시원과 정관신도시 정관중앙로 일원에는 ‘도시바람길 숲’을 만든다. 도시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맑고 시원한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대기 순환을 촉진하는 숲이다. 대기오염 물질과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숲으로, 2023년부터 예산 확보와 설계를 거쳐 올해 조성을 마무리한다.
해운대구 좌동 신곡초등학교 주변에는 보행로와 차도를 자연스럽게 분리해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자녀안심 그린숲’을 가꾼다.
지난해 네 곳(송상현광장, 가야역, 동해선 센텀역, 초량역)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정류장에 시범사업으로 마련한 작은 정원은 올해 가야대로 BRT 정류장으로 확대한다. 서면교차로에는 생태친화적 자연주의 정원을 조성해 부산의 대표 교차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전국체전에 대비해 김해공항·부산역 등 주요 관문을 꽃으로 꾸밀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도시숲을 부산 곳곳에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