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3일까지 미국 22개 주에서 총 607건의 홍역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이 가운데 93%인 567건이 주요 지역의 집단 발병 사태와 관련된 것으로 분류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홍역 감염 사례 285건 가운데 198건(69%)이 집단 발병 사례였던 것과 비교하면 대폭 늘어난 수치다.
이날 AP 통신 등 미 언론은 이번 홍역 확산 사태 이후 세 번째 사망자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이번 사망자 역시 첫 사망 사례와 마찬가지로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학령기 아동이라고 병원 측은 밝혔다.
앞서 지난 2월 하순 텍사스주 서부 지역에서 1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내 홍역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번에 숨진 아동 역시 같은 지역 주민이다.
미 언론은 이번 집단 발병 환자 중 97%가 백신 미접종자라는 점을 들어 '백신 회의론'을 전파한 케네디 장관의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케네디 장관은 과거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등 의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주장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그는 또 지난달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텍사스의 홍역 유행이 영양실조 때문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그러면서 대구 간유처럼 비타민A가 풍부한 식이 보조제 등을 활용한 대체 치료법 임상시험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보건복지부 장관의 이런 발언이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대응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홍역으로 인한 첫 사망자가 발생한 텍사스 서부 어린이병원의 의사들은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어린이 홍역 환자들을 검사한 결과, 다수의 어린이가 비타민A 독성으로 인해 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병원 최고의료책임자인 라라 존슨 박사는 환자들이 홍역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예방한다는 목적으로 비타민A를 사용했음을 시인했다고 전했다.
미 식품의약국(FDA)의 전 백신 책임자였던 피터 마크스 박사는 AP 인터뷰에서 "이것은 불필요한 죽음의 전형"이라며 "이 아이들은 예방 접종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사 출신으로 공화당 소속인 빌 캐시디 연방 상원의원도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모두가 백신을 맞아야 한다. 홍역에 다른 치료법은 없다. 최고 보건 관료는 또 다른 어린이가 죽기 전에 분명히 그렇게 말해야 한다"고 적었다.
이후 케네디 장관은 이날 오후 엑스에 "오늘 텍사스 게인즈 카운티의 홍역 사망 어린이 가족을 위로하러 왔다"며 "홍역 확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MMR(홍역·볼거리·풍진) 백신이다"라고 밝혔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