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첫 관세 협상에 직접 참석하겠다고 밝히면서 일본 정부 내에서 충격이 확산했다고 교도통신과 요미우리신문 등이 17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본은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을 협상하기 위해 (미국에) 온다"며 재무부, 상무부 장관과 함께 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측이 본격 협상을 개시하기 전에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백악관에서 한 시간 정도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이 함께 참석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후 베선트 장관, 그리어 대표 등과 협상에 임했다.
본래 일본 정부는 이번 관세 협상에서 미국 측 요청을 충분히 듣고, 이를 바탕으로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귀국하면 미국을 설득할 '교섭 카드'를 마련한다는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협상에 직접 참여하면 협상 주도권을 미국 측에 빼앗길 가능성이 있어 일본 정부 내에서 당혹감이 퍼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요미우리신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강한 어조로 말한 채로 회담이 끝나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 지원 비용'을 언급한 데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이번 회담에 군사 관련 의제가 포함된다는 사실을 외무성 간부들은 알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국 방문단에는 방위성 담당자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미일 안보 조약이 불공평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미국이 일본을 방어하기 위해 수천억 달러(수백조 원)를 쓰고 있지만 일본은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민형 한경닷컴 기자 mean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