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3.67
(31.91
1.22%)
코스닥
717.67
(5.95
0.82%)
  • 비트코인

    154,568,000(2.03%)

  • 이더리움

    3,670,000(2.26%)

  • 리플

    3,361(0.72%)

  • 비트코인 캐시

    594,500(5.22%)

  • 이오스

    1,059(1.15%)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3,305(3.02%)

  • 이더리움 클래식

    26,980(2.82%)

  • 비트코인

    154,568,000(2.03%)

버튼
가상화폐 시세 관련기사 보기
  • 비트코인

    154,568,000(2.03%)

  • 이더리움

    3,670,000(2.26%)

  • 리플

    3,361(0.72%)

  • 비트코인 캐시

    594,500(5.22%)

  • 이오스

    1,059(1.15%)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3,305(3.02%)

  • 이더리움 클래식

    26,980(2.82%)

정보제공 : 빗썸 닫기

머리카락 '한올한올', 눈가 주름 '하나하나'…진짜보다 더 진짜같다

입력 2025-04-17 17:14   수정 2025-04-18 02:39

머리카락 한올한올 눈가 주름 하나하나진짜보다 더 진짜같다
당장 숨이 새어 나올 것 같은 입술, 까끌까끌한 수염, 고된 하루를 보낸 퇴근길에 마주할 법한 공허한 눈빛…. 사람 같지만 사람일 수 없는 것들로 가득한 ‘불쾌한 골짜기’에 발을 내디딘 순간, 두려움이 엄습한다. 하나 같이 기괴한 사람의 형상은 어딘가 섬뜩하다. 거부감이 잦아들면 이내 동질감이 밀려온다. 가짜 인간에게서 익숙한 외로움과 불안이 느껴져서다. 이 생경한 공감은 마침내 감탄으로 바뀐다. “이렇게 사실적인 조각이라니.”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고 있는 현대 조각가 론 뮤익(67)의 개인전은 여러 감정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믿기 힘들 정도로 정교한 표현, 완벽하게 구현된 디테일이 돋보이는 극사실주의 인체 조각은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뮤익은 이렇게 말한다.

“비록 표상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지만, 내가 포착하고 싶은 것은 삶의 깊이다.”
현대조각의 이단아, 아시아 첫 회고전

호주 출신의 뮤익은 현대미술계에서 가장 유명한 조각가 중 한 명이다. 영화나 어린이용 TV 프로그램에 필요한 모형 소품을 제작하다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미술계에 발을 들였다. 1996년 사망한 부친의 모습을 실제의 절반 크기로 구현한 ‘죽은 아빠’를 영국 런던 왕립미술원에 출품해 스타가 됐다. 이후 30년 가까이 유리섬유, 실리콘 등으로 제작한 극사실적 인체 조각만을 고수하는 그의 작업은 서구 현대미술사의 물줄기를 트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영국 테이트모던과 내셔널갤러리, 미국 휴스턴미술관, 프랑스 파리 카르티에 현대미술재단 등 뮤익의 작품은 그간 유수의 공간에서 관객과 만났다. 하지만 한 자리에서 여러 점을 감상하긴 어려웠다. 워낙 세밀한 작업을 하는 탓에 30년간 내놓은 작품이 48점뿐이고, 주로 기관과 컬렉터가 작품을 소장하고 있어서다. 그런 그의 작품이 이번 전시에 10점이나 모였다. 일본, 홍콩 등보다 앞선 아시아 첫 회고전이다.
보이는 게 전부는 아니다
전시는 작가가 자기 얼굴을 본떠 만든 ‘마스크Ⅱ’(2002)에서 출발한다. 2021년 리움미술관 재개관전 ‘인간, 일곱 개의 질문’에서 소개됐던 작품이다. 전통적 자소상 장르에 속하지만, 해석은 독창적이다. 베개를 베고 잠든 듯한 남자의 얼굴은 사실적이지만, 뒤를 보면 텅 비어 있다. 껍데기에 불과한 가면인 셈이다. 남과 다른 고유의 얼굴을 갖고 있지만 자기 얼굴은 결코 볼 수 없는 인간의 모순을 떠올린다면, 작품은 데카르트에서 시작된 존재의 확신에 물음표를 던지는 듯하다.

뮤익은 작품을 극단적으로 크게 만들거나 축소한다. 보는 이들을 잠시나마 현실과 동떨어지게 한다. 전시에 나온 ‘침대에서’(2005)가 단적인 예다. ‘쇼핑하는 여인’(2013) 역시 일반 사람 크기보다 작지만 오히려 현실적이다. 커다란 외투 속 아기를 안은 여성의 두 손에 장바구니가 들려 있는 모습에서 묵직한 삶의 무게가 느껴져서다.
쌓아 올린 100개의 해골 무더기
숨 막히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순간은 전시 하이라이트인 ‘매스’(2016~2017)와 마주했을 때다. 1.2m 높이의 거대한 두개골 조각 100개로 이뤄진 작품이다. 뮤익이 과거 파리에서 카타콤(지하 묘지)을 방문했을 때 본 뼈 무더기에서 깊은 인상을 받아 제작한 작품이다. 론뮤익스튜디오의 찰리 클라크 큐레이터는 “100년 넘는 세월 동안 천장까지 쌓인 뼈들이 무너져 내린 모습을 봤고, 이 강렬한 경험에서 만든 것”이라고 했다.

‘매스’는 전시 공간마다 형태가 다르게 설치된다. 이번엔 14m에 달하는 층고 등 국립현대미술관의 건축적 특성을 고려해 세로로 높게 쌓아 올렸다. 고개를 위로 올려야 볼 수 있는 해골 언덕의 끝엔 바깥으로 통하는 작은 창문이 있다. 땅 밑 해골들은 햇빛을 향해 올라가다 무너지거나 굳어져 버린 모습.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이 과거 군사정권의 핵심인 보안사령부(국군기무사령부)였다는 역사적 배경에서 작가의 의도를 짐작할 수 있다.
예술일까 아닐까
한 가닥 물음표가 생긴다. 깎거나, 새기거나, 빚어나가는 게 조소의 기본이라면 그의 작품을 조각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다. 뮤익의 조각은 미켈란젤로, 베르니니, 로댕, 브랑쿠시 등을 거친 오랜 조형 언어와 분명 벗어나 있다. 그저 인간을 본뜬 모형에 불과할 뿐이란 생각도 자연스럽다. 영국의 미술 평론가 조너선 존스는 가디언을 통해 “이런 가짜 쇼에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는 데 불쾌감을 느꼈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평가는 오롯하게 관람객의 몫이다. 다행스러운 건 작가의 작업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사진 연작 12점과 다큐멘터리 영상 2편도 함께 전시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프랑스 사진작가이자 영화감독인 고티에 드블롱드가 뮤익의 작업을 25년간 지켜보며 제작했다. 드블롱드는 이렇게 밝힌다. “론의 기술은 매우 전통적이다. 수세기 동안 조각가들은 이 같은 방식으로 작업해 왔다. 그런데도 나는 그가 조각을 어떻게 그렇게 생생하게 만드는지 모르겠다…엄청난 생명력이 깃들어 있다.” 전시는 오는 7월 13일까지.

유승목 기자 mok@hankyung.com


관련뉴스

랭킹뉴스 더보기

가상화폐 시세 기사 보기 +

    • 비트코인

      154,568,000(2.03%)

    • 이더리움

      3,670,000(2.26%)

    • 리플

      3,361(0.72%)

    • 비트코인 캐시

      594,500(5.22%)

    • 이오스

      1,059(1.15%)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정보제공 : 빗썸

온라인에서 만나는 '한경TV LIVE'
  •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 굿모닝 작전 '불기둥' 세우는 5월 새내기株... 공모주 시장 훈풍 불까?
  • 오늘장 뭐사지? 숨 고르기 장세 속, K-뷰티 반등할까?
  • 주식 콘서트 - 변동성 장세 단기 핵심 유망주 大공개! | 이동근
  • 미국증시 오프닝 라이브 [LIVE] 트럼프 ‘대규모 감세 법안’ 하원 통과 | 비트코인, 사상 첫 11만 달러 돌파 | 에버코어ISI “MS 입지 강력…목표가 상향” | 미국증시 오프닝 라이브ㅣ05/22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채팅참여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