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wownet.co.kr/static/news/20130207/07132539843_60600020.jpg)
중국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3차 핵실험 강행 의지를 내비치면서 북중간 이상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최근 2차례에 걸쳐 대북원조 지원 중단을 거론했다.
북한이 중국의 권고를 듣지 않고 3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북한을 향해 분명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환구시보는 지난달 25일자 사설에서 "만약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시도할 경우 중국은 대북 원조를 줄이는 데 주저하면 안된다"며 대북지원 중단을 요구한 데 이어 6일자 사설에서도 "북한이 만약 권고를 듣지 않고 끝내 3차 핵실험을 한다면 반드시 이에 대한 큰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중국에서 얻어온 각종 원조도 당연히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강한 민족주의 성향으로 때로 국수적 논조를 보일 때도 있지만 민감한 국제현안에 대해 중국정부의 속내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내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번에는 중국이 단호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상하이 푸단대 국제문제연구소 션딩리(沈丁立) 부원장은 지난 1일 상하이 동방조보(東方早報)에 기고한 칼럼에서 "중국은 중북 역사관계와 현 국제환경하에서 여전히 북한을 고려하고 있지만 중국도 국가이익을 보호해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은 변하지 않으며 중국 자신의 핵심이익을 놓고 거래하지는 않는다"며 언제까지 북한을 두둔하지는 못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주요 현안들을 놓고 북한의 입장을 대변해온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도 4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2087호)와 관련해 "대국이 미국의 부당한 행위를 바로잡지 못한 사례가 없지 않았다"면서 사실상 중국을 비난했다.
이에 앞서 북한 국방위원회도 지난달 24일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에 대한 성명에서 "세계의 공정한 질서를 세우는데 앞장서야 할 큰 나라들까지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며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불만을 표시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는 설을 앞두고 세계 30개국 정상에게 연하장을 보내면서 전통적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는 제외했다.
유엔 안보리 결의에 중국과 러시아까지 찬성하면서 만장일치로 결의를 채택한 데 대한 불만의 표시로 해석됐다.
중국은 북한의 3차 핵실험 저지를 설득하기 위해 검토 중이던 북한 특사 파견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의 이런 결정은 과거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나 핵실험을 앞두고 중국의 특사 파견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국제적으로 중국의 체면만 구기게 했던 전례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리젠궈(李建國)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겸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북한에 보내 북한을 설득했지만 북한은 끝내 미사일 발사를 강행했고 2009년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당시에도 중국은 특사 파견을 검토하다 북한의 완강함에 밀려 이를 취소하기도 했다.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특사단이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해 도발을 막아달라는 특사단의 주문에 중국의 한 고위인사는 "북한이 우리(중국) 말을 안 듣는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듣지도 않는다"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양측 관영언론들의 보도논조를 근거로 북중관계의 변화조짐을 거론하기에는 이르다는 관측이 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북중관계 이상 기류 주장은 다분히 우리측의 바램을 담은 것으로 여전히 본질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kmsung@cbs.co.kr
[베이징=CBS 성기명 특파원]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