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4째줄 45%->225%로 정정. 금감원 관계자 워딩 추가>>
작년 `대선 테마주' 열풍 속에 대주주와친인척 등이 지분 매각으로 벌어들인 수익이 3천억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7일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8대 대선 유력후보 3인과 관련돼 급등락을 보인 79개 테마주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들은 2012년 한해에 901차례 보유지분을 장내매도했다.
매각된 주식은 모두 9천760만주였으며, 총매각금액은 4천559억원으로 집계됐다.
장내매도 당시 주가는 대선테마주 열풍이 고개를 들기 전인 2011년 6월초 주가와 비교해 평균 225% 가량 고평가돼 있었다. 지분매각을 통해 약 3천154억원의 차익을 올렸다고 볼 수 있다.
후보별로는 무소속 안철수 전 대선후보와 관련된 33개 종목 대주주들이 팔아치운 지분의 규모가 5천809만주, 2천938억원으로 전체의 3분의 2 가량을 차지했다. 2011년 중순 대비 시세차익도 2천280억원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대선후보(2천644만주ㆍ891억원),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1천306만주ㆍ730억원) 등 순이었다.
종목별로는 안랩[053800]의 매각대금이 1천604억원으로 가장 컸고, 이어 아가방컴퍼니[013990](514억원), 미래산업[025560](443억원), 써니전자[004770](323억원),우리들생명과학[118000](318억원), 우리들제약[004720](195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렇게 대주주들의 지분 매각이 잇따르면서 일부 종목에서는 먹튀 논란도 일었다.
미래산업의 최대주주였던 정문술씨는 작년 9월 18~19일 보유주식 전량을 장내매도해 400억원 가량을 챙겼다. 써니전자 곽영의 회장은 한해에 213만주를 팔아 132억원을 현금화했고, 친인척들도 상당량의 지분을 매각했다.
우리들병원그룹 김수경 회장은 우리들생명과학과 우리들제약 주식 1천338만주를주당 1천879~3천192원에 팔아 현금 338억원을 확보했다. 우리들생명과학과 우리들제약의 주가는 2011년 6월초 기준 375원과 538원에 불과했다.
이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도덕적 해이'라는 비판과 '합리적 행동'이라는 반론이엇갈리고 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대주주가 조회공시 요구에 주가급변 사유가 없다고 답한 직후 주식을 매각해 대량의 차익을 남긴 사례가 있다"면서 "법적 문제가 없더라도 투자자 손실을 부추긴 셈이라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자본시장연구원 이인형 선임연구위원은 "시세조종에 직접 가담한 혐의가없다면 대주주의 의사결정 영역인 주주권 포기를 무조건 비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테마주의 투기성을 알고도 투자한 개인 투자자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 테마주특별조사반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언론이 수차례 위험을 경고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불나방처럼 몰려드는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도 잘못"이라고 말했다.
hwang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작년 `대선 테마주' 열풍 속에 대주주와친인척 등이 지분 매각으로 벌어들인 수익이 3천억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7일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8대 대선 유력후보 3인과 관련돼 급등락을 보인 79개 테마주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들은 2012년 한해에 901차례 보유지분을 장내매도했다.
매각된 주식은 모두 9천760만주였으며, 총매각금액은 4천559억원으로 집계됐다.
장내매도 당시 주가는 대선테마주 열풍이 고개를 들기 전인 2011년 6월초 주가와 비교해 평균 225% 가량 고평가돼 있었다. 지분매각을 통해 약 3천154억원의 차익을 올렸다고 볼 수 있다.
후보별로는 무소속 안철수 전 대선후보와 관련된 33개 종목 대주주들이 팔아치운 지분의 규모가 5천809만주, 2천938억원으로 전체의 3분의 2 가량을 차지했다. 2011년 중순 대비 시세차익도 2천280억원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대선후보(2천644만주ㆍ891억원),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1천306만주ㆍ730억원) 등 순이었다.
종목별로는 안랩[053800]의 매각대금이 1천604억원으로 가장 컸고, 이어 아가방컴퍼니[013990](514억원), 미래산업[025560](443억원), 써니전자[004770](323억원),우리들생명과학[118000](318억원), 우리들제약[004720](195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렇게 대주주들의 지분 매각이 잇따르면서 일부 종목에서는 먹튀 논란도 일었다.
미래산업의 최대주주였던 정문술씨는 작년 9월 18~19일 보유주식 전량을 장내매도해 400억원 가량을 챙겼다. 써니전자 곽영의 회장은 한해에 213만주를 팔아 132억원을 현금화했고, 친인척들도 상당량의 지분을 매각했다.
우리들병원그룹 김수경 회장은 우리들생명과학과 우리들제약 주식 1천338만주를주당 1천879~3천192원에 팔아 현금 338억원을 확보했다. 우리들생명과학과 우리들제약의 주가는 2011년 6월초 기준 375원과 538원에 불과했다.
이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도덕적 해이'라는 비판과 '합리적 행동'이라는 반론이엇갈리고 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대주주가 조회공시 요구에 주가급변 사유가 없다고 답한 직후 주식을 매각해 대량의 차익을 남긴 사례가 있다"면서 "법적 문제가 없더라도 투자자 손실을 부추긴 셈이라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자본시장연구원 이인형 선임연구위원은 "시세조종에 직접 가담한 혐의가없다면 대주주의 의사결정 영역인 주주권 포기를 무조건 비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테마주의 투기성을 알고도 투자한 개인 투자자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 테마주특별조사반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언론이 수차례 위험을 경고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불나방처럼 몰려드는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도 잘못"이라고 말했다.
hwang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