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애널리스트 등 전문가들 부정적 전망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서울 및 수도권부동산 가격 반등의 기대감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증권사 주택시장 담당 애널리스트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올해 주택가격 상승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오히려 떨어지는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엇보다 바닥을 치고 반등할 모멘텀이 불확실하고 경제여건도 좋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진한 흐름을 뒤바꿀 분위기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삼성증권 양해근 투자컨설팅팀 차장은 23일 "새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있겠지만 올해 부동산 시장은 연중 보합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30대 후반∼40대 중반 계층의 경제력이 좋지 않고 가구 수가 줄어드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다"면서 "양도세 감면이나 재건축 규제 완화 같은 파격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부동산이 급격히 살아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KDB대우증권 송흥익 연구원은 "하반기에 부동산경기가 개선된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새 정부의 정책이 나오면 5∼8월 정도에 거래량이 늘어나겠지만 펀더멘털(경제여건)이 안 좋기 때문에 가격은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팀장은 실물경기가 위축된데다 수도권에 미분양가구가 3만 가구 이상이나 되는 공급 과잉 현상, 주택 수요가 세종시 등 지방으로 이전된 것 등을 부정적 전망의 원인으로 꼽았다.
미래에셋증권 변성진 연구원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작년에 5%중반 정도 하락했는데 앞으로 10% 정도는 더 내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새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인정했지만, 역할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완화 등이 시행될 경우 거래가 활성화될 수는 있겠지만,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기어렵다는 것이다.
박원갑 팀장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집을 보면 부동산 정책의 핵심은주거복지, 하우스푸어 및 렌트푸어 구제책에 집중돼 있다"며 새 정부가 시장이 기대하는 것만큼 확실한 대책을 내놓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우리투자증권 김규정 부동산팀장은 "새 정부가 세제 지원과 규제 완화를 보여주고 중장기 방향을 속시원히 밝혀야 부동산 경기가 상승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면서"시장에서 추가적인 수익률의 개선은 어렵다"고 밝혔다.
올해 부동산 가격 반등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비슷한 맥락에서 중장기적인 추세적 상승 가능성도 전문가들은 낮게 봤다.
이트레이드증권 박상연 연구원은 "미시적 문제보다 인구구조 변화 등 거시적 문제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우리 사회는 1∼2인 가구 증가 등 주택 매매 수요가 증가하기 어려운 인구구조로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변성진 연구원은 "우리나라 주택 시장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가격은 많이 떨어진편이 아니다"라며 "DTI 등으로 상승을 유도해야 하는데 가격의 상향 움직임이 제한적이어서 기대하기 어렵고 따라서 추세적 상승은 힘들다"고 말했다.
faith@yna.co.kr withwit@yna.co.kr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서울 및 수도권부동산 가격 반등의 기대감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증권사 주택시장 담당 애널리스트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올해 주택가격 상승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오히려 떨어지는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엇보다 바닥을 치고 반등할 모멘텀이 불확실하고 경제여건도 좋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진한 흐름을 뒤바꿀 분위기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삼성증권 양해근 투자컨설팅팀 차장은 23일 "새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있겠지만 올해 부동산 시장은 연중 보합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30대 후반∼40대 중반 계층의 경제력이 좋지 않고 가구 수가 줄어드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다"면서 "양도세 감면이나 재건축 규제 완화 같은 파격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부동산이 급격히 살아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KDB대우증권 송흥익 연구원은 "하반기에 부동산경기가 개선된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새 정부의 정책이 나오면 5∼8월 정도에 거래량이 늘어나겠지만 펀더멘털(경제여건)이 안 좋기 때문에 가격은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팀장은 실물경기가 위축된데다 수도권에 미분양가구가 3만 가구 이상이나 되는 공급 과잉 현상, 주택 수요가 세종시 등 지방으로 이전된 것 등을 부정적 전망의 원인으로 꼽았다.
미래에셋증권 변성진 연구원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작년에 5%중반 정도 하락했는데 앞으로 10% 정도는 더 내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새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인정했지만, 역할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완화 등이 시행될 경우 거래가 활성화될 수는 있겠지만,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기어렵다는 것이다.
박원갑 팀장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집을 보면 부동산 정책의 핵심은주거복지, 하우스푸어 및 렌트푸어 구제책에 집중돼 있다"며 새 정부가 시장이 기대하는 것만큼 확실한 대책을 내놓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우리투자증권 김규정 부동산팀장은 "새 정부가 세제 지원과 규제 완화를 보여주고 중장기 방향을 속시원히 밝혀야 부동산 경기가 상승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면서"시장에서 추가적인 수익률의 개선은 어렵다"고 밝혔다.
올해 부동산 가격 반등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비슷한 맥락에서 중장기적인 추세적 상승 가능성도 전문가들은 낮게 봤다.
이트레이드증권 박상연 연구원은 "미시적 문제보다 인구구조 변화 등 거시적 문제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우리 사회는 1∼2인 가구 증가 등 주택 매매 수요가 증가하기 어려운 인구구조로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변성진 연구원은 "우리나라 주택 시장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가격은 많이 떨어진편이 아니다"라며 "DTI 등으로 상승을 유도해야 하는데 가격의 상향 움직임이 제한적이어서 기대하기 어렵고 따라서 추세적 상승은 힘들다"고 말했다.
faith@yna.co.kr withwit@yna.co.kr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