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심리에 빚내 투자…테마株 광풍 안끝났다>

입력 2013-02-17 05:57  

코스닥 시장의 신용융자 급증은 단기간에 고수익을 올리려는 투기자금의 유입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신용거래로 주식을 사들일 경우 투자자는 대금의 40∼60%만 납입하고 나머지는증권회사가 대신 낸다. 투자자는 30∼90일 내에 원금과 이자를 갚으면 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자금이 언뜻 거래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듯 보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시장의 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만기 전에 원금을 회수해야 하기 때문에 투기성을 띨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작년 주식시장을 휩쓸었던 대선 테마주 광풍처럼 실적과 무관한 급등락을 유발해 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해를 끼친다는 것이다.

◇`빚내 코스닥' 4년여만에 185% 증가 1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닥 시장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올해 들어 하루평균 1조7천661억원 수준을 보이고 있다. 세계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천199억원에 비해 184.9%나 늘어난 금액이다.

코스닥 시장의 하루평균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009년 9천59억원, 2010년 1조4천133억원, 2011년 1조4천423억원, 작년 1조6천463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반면 유가증권시장의 하루평균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011년 4조1천974억원으로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현재는 2008년 수준인 2조3천254억원까지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유독 코스닥 시장에서만 신용융자가 급증한 까닭은 일확천금을 노리는 투기 자금이 유입된 결과라고 입을 모았다. 유가증권시장에 비해 변동성이 큰 데다 중소형주가 대부분이라 작은 금액으로도 시세조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유독 코스닥만 신용융자가 증가한 것은 투자자들의 성향이 그만큼 공격적이란 뜻"이라며 "2008년 위기 이후 경기가 악화하니까 아무래도등락 폭이 큰 시장에 뛰어드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결국은 투기"라며 "신용을 쓰면 자기자본의 2∼3배까지 투자가 가능한데 상한가를 치면 하루에도 자기자본대비 거의 50% 가까운 수익을 올릴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추세는 최근의 테마주 열풍과도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실제 작년 코스닥 시장의 월별 신용거래융자 금액은 18대 대선 직전인 11월 하루평균 1조8천540억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대선 테마주 열풍과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미수거래 규제 '풍선효과'·서민경제 악화도 원인 코스닥 시장의 신용융자 급증에는 금융당국의 미수거래 규제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수거래는 주식매입대금의 30% 이상을 증거금으로 내고 주식을 외상으로 사되이틀 뒤 결제일까지 돈을 갚지 않으면 증권사가 반대매매를 통해 계좌에 있는 주식을 파는 제도다.

금융당국이 미수거래를 증시 변동성 확대의 주범으로 지목해 2007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규제하자 일종의 '풍선효과'가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임 팀장은 "미수거래에 대한 규제 때문에 이를 이용하던 세력이 신용융자쪽으로이동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신용융자거래는 늘어난 반면 미수금과 실제 반대매매 금액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하루평균 미수금은 규제 전인 2006년 1조1천368억원이었던 것이 2008년 1천735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다만, 이후로는 큰 감소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먹고 살기가 빡빡해진 서민들이 코스닥으로 몰려든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증권투자금 마련을 위한 담보ㆍ신용대출 규모는 작년 기준으로 부채보유 가구당55만2천원으로 2010년(27만1천원)보다 104.1% 증가했다.

특히 저소득층과 임시ㆍ일용직, 20대 가장 등 우리 사회의 취약계층에 속하는가구의 증가율이 훨씬 더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줄어든 소득을 보충해 보려는 고수익 추구에 나선 경향이 뚜렷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용융자 규제강화 의견도 문제는 이렇게 신용거래융자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이 늘어날수록 시장의 질은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특정 종목에 투기 자금이 몰리다 보면 기업 실적과 관계없는 주가 급변동으로증시의 질이 저하되고 개인 투자자도 큰 손해를 입게 될 수밖에 없다.

금융소비자원 조남희 대표는 "투명한 공시와 정보제공을 통해 비정상적인 거래를 신속히 걸러내 투자자의 피해를 막고 건전한 투자문화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용융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이기웅 부장은 "우리나라는 레버리지(차입투자) 확대에 굉장히 관대한 면이 있는데 적정 한도에 대한 더욱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hwangch@yna.co.kr ohye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