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가 코레일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대상에 올렸다는 내용 등 전반적 보강>>S&P 코레일신용등급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코레일의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하고 있다.
용산 국제업무단지 개발사업의 시행사인 드림허브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빠진 데 따른 것이다. 코레일은 드림허브 지분의 25% 소유한 최대주주다.
무디스는 "현재 'A1' 등급인 코레일의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하겠다"면서 "드림허브 부도로 이 회사 자본 구조와 자금 조달력이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14일 밝혔다.
전날 드림허브는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이자 52억원을 내지 못해 디폴트 상태에 빠졌다.
드림허브가 발행한 ABCP는 총 2조7천억원 규모로 어음 전액이 부도 처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무디스는 "코레일이 용산 사업과 관련한 토지매각이익과 지분 투자금액을 손실처리하면 장기채 발행 능력이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코레일은 철도공사법에 따라 채권을 자본금의 2배까지만 발행할 수 있는데, 이번 일로 자본이 잠식되면 장기채 발행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무디스에 이어 S&P도 코레일의 'A+'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S&P는 "코레일이 토지매각대금 가운데 이미 수령한 2조4천억원을 반환하고 토지가격 하락에 따른 채권감액손실도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레일은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를 드림허브에 8조원에 매각하고 2조4천억원을받았다. 나머지 대금은 장기 채권으로 보유하고 있다.
S&P는 "코레일의 독자신용도는 취약한 현금흐름과 높은 차입금 수준 때문에 지난 수년간 악화됐다"며 "이번 디폴트 사태는 독자신용도 강등을 압박하는 요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S&P는 용산 사업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 여부가 코레일의 자금조달에 가장 큰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코레일의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하고 있다.
용산 국제업무단지 개발사업의 시행사인 드림허브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빠진 데 따른 것이다. 코레일은 드림허브 지분의 25% 소유한 최대주주다.
무디스는 "현재 'A1' 등급인 코레일의 신용등급 강등을 검토하겠다"면서 "드림허브 부도로 이 회사 자본 구조와 자금 조달력이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14일 밝혔다.
전날 드림허브는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이자 52억원을 내지 못해 디폴트 상태에 빠졌다.
드림허브가 발행한 ABCP는 총 2조7천억원 규모로 어음 전액이 부도 처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무디스는 "코레일이 용산 사업과 관련한 토지매각이익과 지분 투자금액을 손실처리하면 장기채 발행 능력이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코레일은 철도공사법에 따라 채권을 자본금의 2배까지만 발행할 수 있는데, 이번 일로 자본이 잠식되면 장기채 발행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무디스에 이어 S&P도 코레일의 'A+'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S&P는 "코레일이 토지매각대금 가운데 이미 수령한 2조4천억원을 반환하고 토지가격 하락에 따른 채권감액손실도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레일은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를 드림허브에 8조원에 매각하고 2조4천억원을받았다. 나머지 대금은 장기 채권으로 보유하고 있다.
S&P는 "코레일의 독자신용도는 취약한 현금흐름과 높은 차입금 수준 때문에 지난 수년간 악화됐다"며 "이번 디폴트 사태는 독자신용도 강등을 압박하는 요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S&P는 용산 사업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 여부가 코레일의 자금조달에 가장 큰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