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투자자들의 금융투자 목적 1위는 주택 마련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은 은퇴 후 자금 마련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트는 최근 전 세계 19개국의 일정금액 이상 금융자산을 보유한 투자자 9천5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인 투자자 중 33%가 주택구매를 투자 목적으로 꼽았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인 조사 대상은 2천500만원 이상의 금융 자산을 보유한 501명이었다.
이어 기타(23%), 은퇴 자금 마련(18%), 학비 마련(16%) 등이 투자 목적으로 제시됐다.
중국(34%), 홍콩(37%), 인도(46%), 말레이시아(33%), 싱가포르(32%) 등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투자자들도 주택 마련을 첫 번째 투자 목적으로 들었다.
반면 미국에서는 투자자의 60%가 은퇴 자금을 마련하려 투자하고 있다고 답했다. 비상금 마련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은 11%였고 주택 마련을 위해 투자한다는 사람은 8%에 그쳤다.
일본도 은퇴 자금 마련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58%)이 가장 많았다. 13%는 주택마련을, 10%는 학비 마련을 최대 투자 목적으로 꼽았다.
캐나다(49%), 영국(40%), 독일(45%), 프랑스(32%)에서도 은퇴 자금을 목표로 한투자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투자 자산의 종류에 따른 기대도 국가별로 엇갈렸다.
한국 투자자들은 귀금속(25%)과 농산물 등 비금속(25%)이 올해 가장 높은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주식(19%)에 대한 기대가 뒤를 이었다.
한국인 투자자 49%는 올해 국내 주식시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23%는 보합을, 16%는 하락을 점쳤다.
그러나 올해 부동산 수익이 가장 높을 것이라고 답한 한국인은 5%에 그쳤다.
한편 미국과 일본에서는 주식이 가장 성과가 좋을 것이라고 답한 사람이 각각 34%, 36%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에 대한 기대는 미국(13%)에서는 비교적 높았지만 일본(5%)에서는 한국만큼 낮았다.
펀드에 투자할 때 한국 투자자는 평균 6.2%의 원금 손실을 감내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국인 투자자 중 월지급식 펀드에서 얻는 수익은 재투자하고 있다는 답변이 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저축(22%), 생활비(17%), 교육비(8%), 대출금 상환(6%)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트는 미국 샌머테이오에 본사를 둔 자산운용사다. 한국에서는 프랭클린템플턴 투신운용을 전액 출자해 운영하고 있다.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트는 최근 전 세계 19개국의 일정금액 이상 금융자산을 보유한 투자자 9천5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인 투자자 중 33%가 주택구매를 투자 목적으로 꼽았다고 25일 밝혔다.
한국인 조사 대상은 2천500만원 이상의 금융 자산을 보유한 501명이었다.
이어 기타(23%), 은퇴 자금 마련(18%), 학비 마련(16%) 등이 투자 목적으로 제시됐다.
중국(34%), 홍콩(37%), 인도(46%), 말레이시아(33%), 싱가포르(32%) 등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투자자들도 주택 마련을 첫 번째 투자 목적으로 들었다.
반면 미국에서는 투자자의 60%가 은퇴 자금을 마련하려 투자하고 있다고 답했다. 비상금 마련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은 11%였고 주택 마련을 위해 투자한다는 사람은 8%에 그쳤다.
일본도 은퇴 자금 마련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58%)이 가장 많았다. 13%는 주택마련을, 10%는 학비 마련을 최대 투자 목적으로 꼽았다.
캐나다(49%), 영국(40%), 독일(45%), 프랑스(32%)에서도 은퇴 자금을 목표로 한투자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투자 자산의 종류에 따른 기대도 국가별로 엇갈렸다.
한국 투자자들은 귀금속(25%)과 농산물 등 비금속(25%)이 올해 가장 높은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주식(19%)에 대한 기대가 뒤를 이었다.
한국인 투자자 49%는 올해 국내 주식시장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23%는 보합을, 16%는 하락을 점쳤다.
그러나 올해 부동산 수익이 가장 높을 것이라고 답한 한국인은 5%에 그쳤다.
한편 미국과 일본에서는 주식이 가장 성과가 좋을 것이라고 답한 사람이 각각 34%, 36%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에 대한 기대는 미국(13%)에서는 비교적 높았지만 일본(5%)에서는 한국만큼 낮았다.
펀드에 투자할 때 한국 투자자는 평균 6.2%의 원금 손실을 감내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국인 투자자 중 월지급식 펀드에서 얻는 수익은 재투자하고 있다는 답변이 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저축(22%), 생활비(17%), 교육비(8%), 대출금 상환(6%)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트는 미국 샌머테이오에 본사를 둔 자산운용사다. 한국에서는 프랭클린템플턴 투신운용을 전액 출자해 운영하고 있다.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