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아베노믹스'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한국 시장에 대한 파급 효과를 경계하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23일 일본 닛케이 225 지수가 전날보다 7.32% 내려앉자 그간 연초 대비 50% 이상, 전년 대비 70% 가까이 급등하는 등 과열한 탓에 일시적인 조정이 있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그러나 닛케이 지수가 20일 이동평균선에 도달했으나 거래량이 급증해 당분간변동성이 클 것이므로 세계 투자자들도 그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기타노 하지메 모건스탠리 일본 전략가는 24일 보고서에서 "증시가 살아나려면올해 하반기에 세계 경제 회복이 필요하다"며 "조정이 수개월간 계속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일본 증시 폭락의 표면적인 원인으로 실망스러운 중국의 5월 HSBC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꼽혔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이면의 배경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직접적으로는 헤지펀드, 개인 투자자를 포함한 단기 투자자들의 이익 실현 추구가 작용했고, 좀 더 근원적으로는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강현철·유익선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증시 폭락을 주도한 종목이 "채권보유가 많은 금융주·소비주라는 점에서 중국 경기 둔화 우려보다는 국채 금리 급등락과 일본은행 정책의 신뢰성 훼손이 더 큰 악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일본 대규모 금융완화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장기 금리의 상승에 따라 채권시장이 동요하면서 본격화하고 있다.
23일 10년 만기 일본 국채 금리는 오전 한때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1%까지도달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금리 상승을 경계하면서도 2%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금리를 억제할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일본 국채 금리 상승은 일본 경제뿐 아니라 주변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말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국채 금리가 200bp(2%) 급등하면 세계 각국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50∼150bp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각본대로라면 향후 2년 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일본이 2.5%포인트 가까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한국의 실질 GDP 역시 0.5%포인트 가까이 떨어질 수 있다고 IMF는 지적했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 인플레이션 2% 시점의 일본 국채 금리인 1.5∼2.2%가 위험인식 영역"이라며 "쇼크적 악재로의 확산 여부는 일본 금리 상승 속도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아베노믹스에 대한 불안감이 한국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한국의 시장전문가들은 적신호와 청신호 양쪽으로 엇갈린 해석을 내놓고 있다.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으로 우려가 커지는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에다 아베노믹스의 실패가 더해지면 세계 경제에 찬물을 끼얹으므로 한국 경제에도 득이 될 수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승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일본 증시 조정이 한국 증시의 상승 계기가 되지는 못할 것"이라며 "일본과 미국의 정책 후퇴는 글로벌 경기가 악화할 수있다는 우려를 먼저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엔저라는 강력한 부산물을 낳은 아베노믹스가 수정되면 엔저 속도가 조절돼 한국 수출에 숨통이 트이며 그간 소외됐던 한국 증시에 대한 관심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3일 오전 달러당 103엔대 중반을 오가던 엔화는 증시 폭락과 함께 101엔대로내려앉았다.
이상재 현대증권 연구원은 "엔저 우려가 해소되면 하반기 우리 경제에 대한 기대치는 미국 경제의 완만한 회복을 바탕으로 제고될 수 있고, 외국인 역시 한국 시장을 재조명할 것"이라며 "외형상의 비관론에 휩싸이기보다는 저가 매수 기회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cheror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3일 일본 닛케이 225 지수가 전날보다 7.32% 내려앉자 그간 연초 대비 50% 이상, 전년 대비 70% 가까이 급등하는 등 과열한 탓에 일시적인 조정이 있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그러나 닛케이 지수가 20일 이동평균선에 도달했으나 거래량이 급증해 당분간변동성이 클 것이므로 세계 투자자들도 그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기타노 하지메 모건스탠리 일본 전략가는 24일 보고서에서 "증시가 살아나려면올해 하반기에 세계 경제 회복이 필요하다"며 "조정이 수개월간 계속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일본 증시 폭락의 표면적인 원인으로 실망스러운 중국의 5월 HSBC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꼽혔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이면의 배경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직접적으로는 헤지펀드, 개인 투자자를 포함한 단기 투자자들의 이익 실현 추구가 작용했고, 좀 더 근원적으로는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강현철·유익선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 증시 폭락을 주도한 종목이 "채권보유가 많은 금융주·소비주라는 점에서 중국 경기 둔화 우려보다는 국채 금리 급등락과 일본은행 정책의 신뢰성 훼손이 더 큰 악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일본 대규모 금융완화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장기 금리의 상승에 따라 채권시장이 동요하면서 본격화하고 있다.
23일 10년 만기 일본 국채 금리는 오전 한때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1%까지도달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금리 상승을 경계하면서도 2%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금리를 억제할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일본 국채 금리 상승은 일본 경제뿐 아니라 주변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말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국채 금리가 200bp(2%) 급등하면 세계 각국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50∼150bp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각본대로라면 향후 2년 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일본이 2.5%포인트 가까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한국의 실질 GDP 역시 0.5%포인트 가까이 떨어질 수 있다고 IMF는 지적했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 인플레이션 2% 시점의 일본 국채 금리인 1.5∼2.2%가 위험인식 영역"이라며 "쇼크적 악재로의 확산 여부는 일본 금리 상승 속도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아베노믹스에 대한 불안감이 한국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한국의 시장전문가들은 적신호와 청신호 양쪽으로 엇갈린 해석을 내놓고 있다.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으로 우려가 커지는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에다 아베노믹스의 실패가 더해지면 세계 경제에 찬물을 끼얹으므로 한국 경제에도 득이 될 수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승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일본 증시 조정이 한국 증시의 상승 계기가 되지는 못할 것"이라며 "일본과 미국의 정책 후퇴는 글로벌 경기가 악화할 수있다는 우려를 먼저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엔저라는 강력한 부산물을 낳은 아베노믹스가 수정되면 엔저 속도가 조절돼 한국 수출에 숨통이 트이며 그간 소외됐던 한국 증시에 대한 관심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3일 오전 달러당 103엔대 중반을 오가던 엔화는 증시 폭락과 함께 101엔대로내려앉았다.
이상재 현대증권 연구원은 "엔저 우려가 해소되면 하반기 우리 경제에 대한 기대치는 미국 경제의 완만한 회복을 바탕으로 제고될 수 있고, 외국인 역시 한국 시장을 재조명할 것"이라며 "외형상의 비관론에 휩싸이기보다는 저가 매수 기회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cheror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