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은 15일 중국이 경기 부양책 부재때문에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정체됐다고 분석했다.
윤항진 한국투자증권 신흥국시장 팀장은 "중국 지도부가 강력한 경기 부양책을쓰기보다 그림자 금융 규제, 산업 구조조정 등의 속도조절 정책을 시행했다"며 "이런 부양책 부재가 대외 경기 악화와 겹쳐 2분기 성장률에 부담을 줬다"고 진단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중국의 2분기 GDP 전년대비 성장률이 7.5%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1분기 성장률은 7.7%였다.
윤 팀장은 "투자자들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 후 제시한 '신형도시화' 정책이 경기 회복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 효과가 기대에 비해 더디게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 지도부가 신형 도시화의 로드맵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다 그 사이 공백을 메울 단기 부양책도 없는 상황이라며 이런 정책 공백이 제조업부진과 경제성장률 부진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윤 팀장은 이어 중국 경기 부진이 아시아시장과 신흥국 시장 전체에 악영향을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에 자본재 부품을 수출하는 한국, 일본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브라질,호주 등은 경기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팀장은 다만 중국의 전년대비 GDP 성장률이 6%대로 내려가는 '경착륙' 상황까지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중국의 올해 연간 성장률이 7.5% 전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중국 경기는 3분기에 저점을 짚은 뒤 반등하겠지만, 그 속도가 빠르지는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윤항진 한국투자증권 신흥국시장 팀장은 "중국 지도부가 강력한 경기 부양책을쓰기보다 그림자 금융 규제, 산업 구조조정 등의 속도조절 정책을 시행했다"며 "이런 부양책 부재가 대외 경기 악화와 겹쳐 2분기 성장률에 부담을 줬다"고 진단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중국의 2분기 GDP 전년대비 성장률이 7.5%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1분기 성장률은 7.7%였다.
윤 팀장은 "투자자들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 후 제시한 '신형도시화' 정책이 경기 회복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 효과가 기대에 비해 더디게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 지도부가 신형 도시화의 로드맵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데다 그 사이 공백을 메울 단기 부양책도 없는 상황이라며 이런 정책 공백이 제조업부진과 경제성장률 부진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윤 팀장은 이어 중국 경기 부진이 아시아시장과 신흥국 시장 전체에 악영향을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에 자본재 부품을 수출하는 한국, 일본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브라질,호주 등은 경기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팀장은 다만 중국의 전년대비 GDP 성장률이 6%대로 내려가는 '경착륙' 상황까지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중국의 올해 연간 성장률이 7.5% 전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중국 경기는 3분기에 저점을 짚은 뒤 반등하겠지만, 그 속도가 빠르지는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