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하락에도 일부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지난달 금 보유량을 늘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중앙은행은 지난달 금 8만 트로이온스를 더해 보유량을 130만 온스로 늘렸다.
아제르바이잔 중앙은행도 지난달에 금 보유량을 6만5천 온스 가까이 늘렸다.
이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은 지난해 말에는 거의 없다시피 했으나 현재 25만 온스를 넘는다.
카자흐스탄 중앙은행도 지난달 4만5천 온스 이상을 추가해 420만 온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러시아도 9천 온스를 추가했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러시아의 금 보유량은 3천200만 온스로 세계에서 7번째로 많다.
그리스는 1천 온스를 늘려 360만 온스를 보유 중이며 키르기스스탄, 벨라루스도금 매수국에 이름을 올렸다.
반대로 금을 내다 판 나라도 있다.
독일 중앙은행 분데스방크는 지난달에 금 보유량을 2만5천 온스 줄였다.
다만 이는 1억900만 온스에 달하는 분데스방크의 전체 금 보유량과 비교하면 미미한 양이다.
과테말라는 7천300온스를 매도해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으로 금 보유량을 줄였고멕시코, 수리남 등도 금을 소량 팔았다.
지난 2년간 금 보유량을 4배 가까이 늘린 터키는 지난달에 12만 온스를 팔아 보유량이 1천420만 온스로 감소했다.
WSJ는 신흥국들이 재정위기로 미국 달러나 유로 등 외환보유고에 압박이 가해지자 지난 수년간 금 보유량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전망이 본격화하면서 금값은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금 선물 가격은 이달 들어 하락을 소폭 만회하긴 했으나 이날 오전 9시30분 현재 온스당 1천329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20% 이상 하락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각국 중앙은행이 금값 하락을 금 매수의 기회로 삼는 동시에지속적인 매수로 최근 금값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cheror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중앙은행은 지난달 금 8만 트로이온스를 더해 보유량을 130만 온스로 늘렸다.
아제르바이잔 중앙은행도 지난달에 금 보유량을 6만5천 온스 가까이 늘렸다.
이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은 지난해 말에는 거의 없다시피 했으나 현재 25만 온스를 넘는다.
카자흐스탄 중앙은행도 지난달 4만5천 온스 이상을 추가해 420만 온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러시아도 9천 온스를 추가했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러시아의 금 보유량은 3천200만 온스로 세계에서 7번째로 많다.
그리스는 1천 온스를 늘려 360만 온스를 보유 중이며 키르기스스탄, 벨라루스도금 매수국에 이름을 올렸다.
반대로 금을 내다 판 나라도 있다.
독일 중앙은행 분데스방크는 지난달에 금 보유량을 2만5천 온스 줄였다.
다만 이는 1억900만 온스에 달하는 분데스방크의 전체 금 보유량과 비교하면 미미한 양이다.
과테말라는 7천300온스를 매도해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으로 금 보유량을 줄였고멕시코, 수리남 등도 금을 소량 팔았다.
지난 2년간 금 보유량을 4배 가까이 늘린 터키는 지난달에 12만 온스를 팔아 보유량이 1천420만 온스로 감소했다.
WSJ는 신흥국들이 재정위기로 미국 달러나 유로 등 외환보유고에 압박이 가해지자 지난 수년간 금 보유량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전망이 본격화하면서 금값은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금 선물 가격은 이달 들어 하락을 소폭 만회하긴 했으나 이날 오전 9시30분 현재 온스당 1천329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20% 이상 하락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각국 중앙은행이 금값 하락을 금 매수의 기회로 삼는 동시에지속적인 매수로 최근 금값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cheror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