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가 주요 보직에 이전 공무원과 금융당국 출신을 대거 선임하고 전 임원에게 초호화 예우를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김정훈 국회 정무위원장이 금투협으로부터 받은 '금융투자협회 임직원 경력현황'에 따르면 현재 금투협의 과장급 이상 임직원 중 7명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금융감독기관 종사자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협회 임원 3명 중 협회장을 제외한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이 모두기재부와 금감원 출신이었고 본부장 5명 중 2명이 금융위와 금감원에서 나왔다.
김 의원은 "금투협 출범 이래 협회 내부 살림을 챙기고 본부를 총괄하는 상근부회장에 계속 기재부 국장 출신 인사들이 '낙하산'으로 내려왔다"며 "단수 추천의형식적인 선임 과정 때문에 이런 인사 조치가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올해 금투협 회장은 5억3천240만원,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은 3억6천320만원의 연봉이 책정돼 있다며 주식시장 불황으로 증권사들이 어려움을겪는 상황에서 이는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금투협회장은 연봉의 100%,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은 연봉의 60%를성과급으로 더 얹어 받을 수 있는 규정 때문에 고액 연봉 수령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현재 금투협 임원들에게 지원되는 의전도 최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회장에게는 18평 규모 사무실에 개인 비서 3명과 고급 의전 차량을 제공하고 있고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도 비슷한 수준의 의전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전 금투협회장인 황건호 고문에게 월 500만원의 급여와 15평 규모의 단독사무실, 월 190만원 급여의 개인 비서가 제공되는 등 전 회장에 대한 전관예우도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일 김정훈 국회 정무위원장이 금투협으로부터 받은 '금융투자협회 임직원 경력현황'에 따르면 현재 금투협의 과장급 이상 임직원 중 7명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금융감독기관 종사자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협회 임원 3명 중 협회장을 제외한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이 모두기재부와 금감원 출신이었고 본부장 5명 중 2명이 금융위와 금감원에서 나왔다.
김 의원은 "금투협 출범 이래 협회 내부 살림을 챙기고 본부를 총괄하는 상근부회장에 계속 기재부 국장 출신 인사들이 '낙하산'으로 내려왔다"며 "단수 추천의형식적인 선임 과정 때문에 이런 인사 조치가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올해 금투협 회장은 5억3천240만원,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은 3억6천320만원의 연봉이 책정돼 있다며 주식시장 불황으로 증권사들이 어려움을겪는 상황에서 이는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금투협회장은 연봉의 100%,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은 연봉의 60%를성과급으로 더 얹어 받을 수 있는 규정 때문에 고액 연봉 수령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현재 금투협 임원들에게 지원되는 의전도 최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회장에게는 18평 규모 사무실에 개인 비서 3명과 고급 의전 차량을 제공하고 있고 상근부회장과 자율규제위원장도 비슷한 수준의 의전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전 금투협회장인 황건호 고문에게 월 500만원의 급여와 15평 규모의 단독사무실, 월 190만원 급여의 개인 비서가 제공되는 등 전 회장에 대한 전관예우도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