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투자증권은 23일 미국의 양적완화 유지에 따른 세계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에서의 충격이 오래가진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승 KB투자증권 채권분석팀장은 "향후 국제 채권 금리는 시차를 가지고 완만히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예상했다.
이 팀장은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이 재차 제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 자금유출에 대한 우려는 지속할 것"이라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양적완화 유지에도 향후 신흥국들의 금리 인상 기조는 지속할 것"이라며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전후해 다시 한차례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일부 환율에 대한 후속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은 시기상조일 수 있으며 향후 환율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 팀장은 "이번 FOMC의 양적완화 유지 결정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며 "10월FOMC에서 양적완화 축소가 발표될 가능성이 오히려 매우 켜졌다"고 덧붙였다.
kak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재승 KB투자증권 채권분석팀장은 "향후 국제 채권 금리는 시차를 가지고 완만히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예상했다.
이 팀장은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이 재차 제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 자금유출에 대한 우려는 지속할 것"이라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양적완화 유지에도 향후 신흥국들의 금리 인상 기조는 지속할 것"이라며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전후해 다시 한차례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일부 환율에 대한 후속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은 시기상조일 수 있으며 향후 환율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 팀장은 "이번 FOMC의 양적완화 유지 결정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며 "10월FOMC에서 양적완화 축소가 발표될 가능성이 오히려 매우 켜졌다"고 덧붙였다.
kak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