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금융위, 개인투자자 예탁금 완화 놓고 '엇박자'금융위 "거래량 늘리기 위한 중장기 방안 논의중이다"
코넥스시장 활성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그간 '장기적으로 지켜본다'는 자세를 고수했던 금융당국이 6일 부분보완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거래량 부진에 따른 우려가 큰 만큼 이와 관련한 중장기 정책도 내놓기로 했다.
한국거래소는 일단 다양한 기업을 추가로 시장에 올려 투자할만한 기업 수를늘리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 금융당국 활성화대책 마련 '고심' 그동안 신중한 입장을 취했던 금융당국이 시장 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다만 아직 뚜렷한 방향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총리실과 함께 운영하는 태스크포스(TF)를 통해서 코넥스시장의 거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규정을 너무 완화하면 부작용이 많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이지만 거래량부진에 대한 우려가 많은 만큼 투자 유인과 공급량을 늘릴 수 있는 중장기 보완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를 늘리기 위해 기존 코넥스 상장사의 액면분할과 유상증자를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상장 기업이 주가 하락에 대한 부담으로 주식 분산을 적극적으로 하지못하는 경향을 보여 증자 대신 상장 기업을 최대한으로 늘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코넥스 출범 당시 내건 '연내 50개사 상장' 목표를 유지하고 4분기내에 적극적인 상장을 독려할 예정이다.
개장 이후 코넥스시장에는 힘스인터내셔널, 엔지켐, 세화피앤씨 3개 기업이 추가 상장하는 데 그쳤다. 현재 4개 기업에 대한 상장 심사가 진행되고 있어 이달 중순께 상장 기업 수는 28개가 된다.
투자할 만한 상장기업 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기업들이 내놓을 수 있는주식 물량이 소진되자 9월 들어 코넥스시장 거래량은 급속히 줄었다.
정운수 한국거래소 신시장부장은 "기업들의 반기 보고서를 바탕으로 10∼11월께본격적인 신규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며 "30개 기업의 연내 추가 상장을 기대하고있다"고 말했다.
◇ 코넥스시장 수요·공급 모두 '가뭄' 금융당국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가운데 시장 참여자들은 코넥스시장의 투자자수요와 공급 물량이 모두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투자 수요 면에서는 투자자예탁금 제한이 가장 큰 장벽으로 꼽힌다.
금융당국은 투자자의 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 투자자와 투자자예탁금이 3억원 이상인 고액 자산가만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제한이 활발한거래를 막는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코넥스 출범 이후 정홍원 국무총리가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개인 투자자예탁금규제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금융위원회는 부작용을 우려하며 아직도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조세특례제한법과 중소기업창업지원법 개정안 통과도늦어지고 있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벤처캐피탈이 코넥스 상장사에 투자할 때 법인세를 일부 면제해 주는 내용을 담았다. 중소기업창업지원법 개정안은 벤처캐피탈의 상장기업 투자가 20%로 제한돼 있는 것을 코넥스 기업에 대해서는 제외하는 내용이다.
법 개정으로 벤처캐피탈이 시장에 뛰어들면 거래의 물꼬가 트일 기대가 크지만,국회가 장기간 정상 운영되지 않은 탓에 개정안 통과가 미뤄졌다.
성장사다리펀드의 코넥스펀드 진입도 늦어지고 있다. 정부는 코넥스펀드를 조성하면서 250억원 규모의 자금을 코넥스시장에 참여시킬 계획이었으나 진입 시기가 아직도 확정되지 않았다.
그나마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등 5개 증권 유관기관이 1천500억원 규모로조성한 펀드가 시장에 '단비'가 되고 있지만 이 펀드 또한 코넥스 상장기업 편입 비중을 목표치인 60%보다 낮게 가져가고 있다.
유관기관 펀드를 운용하는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코넥스 기업들이 공모 절차없이 바로 상장되다 보니 지분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라며 "주식 유통 물량이 부족해 편입 비중은 30∼40% 수준"이라고 말했다.
chopark@yna.co.kr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코넥스시장 활성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그간 '장기적으로 지켜본다'는 자세를 고수했던 금융당국이 6일 부분보완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거래량 부진에 따른 우려가 큰 만큼 이와 관련한 중장기 정책도 내놓기로 했다.
한국거래소는 일단 다양한 기업을 추가로 시장에 올려 투자할만한 기업 수를늘리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 금융당국 활성화대책 마련 '고심' 그동안 신중한 입장을 취했던 금융당국이 시장 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다만 아직 뚜렷한 방향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총리실과 함께 운영하는 태스크포스(TF)를 통해서 코넥스시장의 거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규정을 너무 완화하면 부작용이 많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이지만 거래량부진에 대한 우려가 많은 만큼 투자 유인과 공급량을 늘릴 수 있는 중장기 보완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를 늘리기 위해 기존 코넥스 상장사의 액면분할과 유상증자를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상장 기업이 주가 하락에 대한 부담으로 주식 분산을 적극적으로 하지못하는 경향을 보여 증자 대신 상장 기업을 최대한으로 늘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코넥스 출범 당시 내건 '연내 50개사 상장' 목표를 유지하고 4분기내에 적극적인 상장을 독려할 예정이다.
개장 이후 코넥스시장에는 힘스인터내셔널, 엔지켐, 세화피앤씨 3개 기업이 추가 상장하는 데 그쳤다. 현재 4개 기업에 대한 상장 심사가 진행되고 있어 이달 중순께 상장 기업 수는 28개가 된다.
투자할 만한 상장기업 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기업들이 내놓을 수 있는주식 물량이 소진되자 9월 들어 코넥스시장 거래량은 급속히 줄었다.
정운수 한국거래소 신시장부장은 "기업들의 반기 보고서를 바탕으로 10∼11월께본격적인 신규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며 "30개 기업의 연내 추가 상장을 기대하고있다"고 말했다.
◇ 코넥스시장 수요·공급 모두 '가뭄' 금융당국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가운데 시장 참여자들은 코넥스시장의 투자자수요와 공급 물량이 모두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투자 수요 면에서는 투자자예탁금 제한이 가장 큰 장벽으로 꼽힌다.
금융당국은 투자자의 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 투자자와 투자자예탁금이 3억원 이상인 고액 자산가만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제한이 활발한거래를 막는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코넥스 출범 이후 정홍원 국무총리가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개인 투자자예탁금규제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금융위원회는 부작용을 우려하며 아직도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조세특례제한법과 중소기업창업지원법 개정안 통과도늦어지고 있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벤처캐피탈이 코넥스 상장사에 투자할 때 법인세를 일부 면제해 주는 내용을 담았다. 중소기업창업지원법 개정안은 벤처캐피탈의 상장기업 투자가 20%로 제한돼 있는 것을 코넥스 기업에 대해서는 제외하는 내용이다.
법 개정으로 벤처캐피탈이 시장에 뛰어들면 거래의 물꼬가 트일 기대가 크지만,국회가 장기간 정상 운영되지 않은 탓에 개정안 통과가 미뤄졌다.
성장사다리펀드의 코넥스펀드 진입도 늦어지고 있다. 정부는 코넥스펀드를 조성하면서 250억원 규모의 자금을 코넥스시장에 참여시킬 계획이었으나 진입 시기가 아직도 확정되지 않았다.
그나마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등 5개 증권 유관기관이 1천500억원 규모로조성한 펀드가 시장에 '단비'가 되고 있지만 이 펀드 또한 코넥스 상장기업 편입 비중을 목표치인 60%보다 낮게 가져가고 있다.
유관기관 펀드를 운용하는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코넥스 기업들이 공모 절차없이 바로 상장되다 보니 지분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라며 "주식 유통 물량이 부족해 편입 비중은 30∼40% 수준"이라고 말했다.
chopark@yna.co.kr hye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