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투자는 16일 자사의 은퇴 자산관리 서비스의 가입 계좌를 분석한 결과 주가연계증권(ELS)·파생결합증권(DLS) 등의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대세를 이뤘다고 밝혔다.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판매금액이 1천억원을 돌파한 은퇴자산 관리서비스 '신한네오(Neo)50플랜'에 가입한 계좌 6천500개를 분석한 결과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대한 투자성향이 강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은퇴계좌 상품 판매금액 중 변동성이 높은 주식형 상품에 대한 투자 비중은 전체 상품 판매금액의 15%에 그친 반면 상당수가 ELS·DLS, 채권, 신탁 등 변동성은낮으면서 중수익을 거둘 수 있는 상품들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돼 있었다.
특히 ELS·DLS가 전체 판매금액 중 40%를 차지했다. ELS·DLS 중에서도 매달 이자를 분산해서 받을 수 있는 월지급형 상품이 인기를 끌었다.
또 은퇴계좌 상품 판매금액 중 17%는 브라질 채권에 투자하고 있었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브라질 채권은 최근 브라질 헤알화 환율 변동과 국채금리 상승으로 판매가 주춤하지만, 10% 이상의 고금리와 비과세 혜택 때문에 장기투자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ykb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판매금액이 1천억원을 돌파한 은퇴자산 관리서비스 '신한네오(Neo)50플랜'에 가입한 계좌 6천500개를 분석한 결과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대한 투자성향이 강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은퇴계좌 상품 판매금액 중 변동성이 높은 주식형 상품에 대한 투자 비중은 전체 상품 판매금액의 15%에 그친 반면 상당수가 ELS·DLS, 채권, 신탁 등 변동성은낮으면서 중수익을 거둘 수 있는 상품들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돼 있었다.
특히 ELS·DLS가 전체 판매금액 중 40%를 차지했다. ELS·DLS 중에서도 매달 이자를 분산해서 받을 수 있는 월지급형 상품이 인기를 끌었다.
또 은퇴계좌 상품 판매금액 중 17%는 브라질 채권에 투자하고 있었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브라질 채권은 최근 브라질 헤알화 환율 변동과 국채금리 상승으로 판매가 주춤하지만, 10% 이상의 고금리와 비과세 혜택 때문에 장기투자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ykb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