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급등하는 등 시장불안 요인…대비책 시급
올해 한국계 외화채권(한국물)의 만기 도래액이30조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한꺼번에 만기가 돌아오면 한국물 발행 금리가 급등하는 등 시장 불안 요인이될 수 있어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
7일 국제금융센터가 내놓은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도 한국물 만기도래액 추정치는 307억달러(32조6천억원)로 집계됐다.
한국물 만기도래액은 2012년 266억달러(28조3천억원)에서 지난해 204억달러(21조7천억원)로 줄었다가 올해 100억달러(10조6천억원) 이상 늘어 사상 최대치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08년 '리만 사태' 때 채권 발행이 대폭 줄었다가 이듬해인 2009년 상반기에 5년 만기 물량이 대거 쏟아졌기 때문이다.
올해 1∼7월 중 만기도래액이 232억달러(24조6천억원)로 전체의 75%를 차지해 8월 이후부터 상환물량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월평균 상환액은 26억달러(2조7천억원)로 4월(48억달러·5조1천억원), 1월(43억달러·4조5천억원), 5월(39억달러·4조1천억원)에 특히 집중돼 있다.
특히 4월에는 외평채 15억달러(1조6천억원), 기업은행 10억달러(1조645억원),도로공사 5억달러(5천320억원)의 한국물 만기가, 1월에는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이발행한 각각 20억달러(2조1천억원)의 채권 만기가 돌아온다.
통화별로 보면 G3(달러·엔·유로) 통화가 262억달러(27조9천억원)로 전체의 85%를 차지했다. 그 가운데 달러화가 215억달러(22조9천억원·70%)로 압도적인 편이나올해 발행시장 여건에 따라 한국물 조달 통화의 다변화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분석됐다.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올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종료가 예상되는여건 아래 한국물 만기도래 규모가 사상 최고치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차환과 신규발행 시기, 통화 선택 등에 신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적완화 축소와 관련해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커질 가능성이 있고 벤치마크인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가 가팔라지면 달러화 장기채 발행 시 전반적인 차입비용이 상승할 수도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
한편 지난해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규모는 340억달러(36조2천억원)로 사상 최고를 기록한 2012년(380억달러·40조4천억원)보다 10.6% 줄었다.
2013년 만기도래액이 전년보다 줄었고 미국 양적완화 축소 논란에 지난해 6∼8월 발행물량이 감소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로화 표시 채권 발행비중이 17%로 2012년(1%)보다 많이 늘어난 반면 달러화(58%→53%)와 엔화(13%→ 7%)는 비중이 감소했다.
또 공모채권 발행 비중은 전년보다 감소(2012년 68%→2013년 63%)했지만 변동금리 채권의 발행은 크게 증가(5%→12%)했다.
kong79@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해 한국계 외화채권(한국물)의 만기 도래액이30조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한꺼번에 만기가 돌아오면 한국물 발행 금리가 급등하는 등 시장 불안 요인이될 수 있어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
7일 국제금융센터가 내놓은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도 한국물 만기도래액 추정치는 307억달러(32조6천억원)로 집계됐다.
한국물 만기도래액은 2012년 266억달러(28조3천억원)에서 지난해 204억달러(21조7천억원)로 줄었다가 올해 100억달러(10조6천억원) 이상 늘어 사상 최대치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08년 '리만 사태' 때 채권 발행이 대폭 줄었다가 이듬해인 2009년 상반기에 5년 만기 물량이 대거 쏟아졌기 때문이다.
올해 1∼7월 중 만기도래액이 232억달러(24조6천억원)로 전체의 75%를 차지해 8월 이후부터 상환물량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월평균 상환액은 26억달러(2조7천억원)로 4월(48억달러·5조1천억원), 1월(43억달러·4조5천억원), 5월(39억달러·4조1천억원)에 특히 집중돼 있다.
특히 4월에는 외평채 15억달러(1조6천억원), 기업은행 10억달러(1조645억원),도로공사 5억달러(5천320억원)의 한국물 만기가, 1월에는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이발행한 각각 20억달러(2조1천억원)의 채권 만기가 돌아온다.
통화별로 보면 G3(달러·엔·유로) 통화가 262억달러(27조9천억원)로 전체의 85%를 차지했다. 그 가운데 달러화가 215억달러(22조9천억원·70%)로 압도적인 편이나올해 발행시장 여건에 따라 한국물 조달 통화의 다변화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분석됐다.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올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종료가 예상되는여건 아래 한국물 만기도래 규모가 사상 최고치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차환과 신규발행 시기, 통화 선택 등에 신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적완화 축소와 관련해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커질 가능성이 있고 벤치마크인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가 가팔라지면 달러화 장기채 발행 시 전반적인 차입비용이 상승할 수도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
한편 지난해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규모는 340억달러(36조2천억원)로 사상 최고를 기록한 2012년(380억달러·40조4천억원)보다 10.6% 줄었다.
2013년 만기도래액이 전년보다 줄었고 미국 양적완화 축소 논란에 지난해 6∼8월 발행물량이 감소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로화 표시 채권 발행비중이 17%로 2012년(1%)보다 많이 늘어난 반면 달러화(58%→53%)와 엔화(13%→ 7%)는 비중이 감소했다.
또 공모채권 발행 비중은 전년보다 감소(2012년 68%→2013년 63%)했지만 변동금리 채권의 발행은 크게 증가(5%→12%)했다.
kong79@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