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증권은 17일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주식시장 미칠 영향은 단기 조정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김병연·안기태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사태는 서방세계와 러시아의 전면전은 피한 채 크림반도가 러시아의 영향권에 종속되는 것으로 종결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투자심리에 다소 부담이되겠지만 실제 전쟁으로까지 확산된 1999년 체첸 사태 당시에도 주가는 5주간 0.4%올랐고 2008년 그루지야 사태 때는 11일간 1.7% 하락하는 데 그쳤다"고 소개했다.
이들은 "1992년 몰도바, 1999년 체첸, 2008년 그루지야 사태 당시 서방세계와러시아는 직접적인 군사 충돌은 피한 채 독립된 지역이 러시아의 실질적 영향권에종속됐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 등은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지만 미국의 전략적 비축유 방출과 셰일가스 수출 확대로 부담을 일부 상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경우도 과거 사례와 유사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천연가스와 원유의 러시아 의존도가 높은 유럽이 강하게 제재에 나서기는 어렵고 러시아는 크림 지역을 굳이 합병하지 않아도 영향권에 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kak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김병연·안기태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사태는 서방세계와 러시아의 전면전은 피한 채 크림반도가 러시아의 영향권에 종속되는 것으로 종결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투자심리에 다소 부담이되겠지만 실제 전쟁으로까지 확산된 1999년 체첸 사태 당시에도 주가는 5주간 0.4%올랐고 2008년 그루지야 사태 때는 11일간 1.7% 하락하는 데 그쳤다"고 소개했다.
이들은 "1992년 몰도바, 1999년 체첸, 2008년 그루지야 사태 당시 서방세계와러시아는 직접적인 군사 충돌은 피한 채 독립된 지역이 러시아의 실질적 영향권에종속됐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 등은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지만 미국의 전략적 비축유 방출과 셰일가스 수출 확대로 부담을 일부 상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경우도 과거 사례와 유사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천연가스와 원유의 러시아 의존도가 높은 유럽이 강하게 제재에 나서기는 어렵고 러시아는 크림 지역을 굳이 합병하지 않아도 영향권에 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kak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